[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1  [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1
 2  [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2
 3  [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3
 4  [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4
 5  [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5
 6  [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사] 박통사언해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박통사의 이본들
Ⅱ-1. 번역박통사
Ⅱ-2. 박통사언해
Ⅱ-3. 박통사신석언해

Ⅲ.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Ⅳ.맺음말
본문내용
고려말경부터 한어 학습서로 사용되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박통사에 대해서 시대적인 간격을 둔 여러 언해본들이 존재함을 위에서 살펴보았다.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중종 조의 번역박통사와 숙종 조의 박통사언해 그리고 박통사의 원문을 정정하여 만든 박통사신석을 언해한 박통사신석언해가 있다. 박통사는 중국인의 생활풍습과 제도 등에 관한 문답을 실은 회화체로 된 것이어서 이 책을 번역한 번역박통사는 16세기 초의 국어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원문 한자의 독음은 중국어의 음운사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언해본들은 대화체로 되어 있으며, 이들 가운데는 동일한 원문에 대하여 상이한 해석의 언해본들도 있다. 이러한 사실로 인하여 이들 문헌들은 국어의 사적 연구를 위한 전대미문의 가치를 지닌 문헌 자료로 평가되었고 ,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여러 관점에서 접근하였던 것이다. 문헌의 서지학적 사실과 당시의 언어에 대한 공시적 고찰(박태권;1980,1981,1983,1984)은 물론 언해본들의 비교를 통한 통시적 접근(남광우, 1972; 김완진, 1975,1976; 왕문용, 1989; 김원석, 1990)이 이루어졌고, 한어 원문에 대해서도 한자음, 어법과 어휘, 허사, 한어 성조, 한자음 표기 등의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되었다. 특히 1세기 반 이상의 시간적 간격을 지닌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의 비교 연구에서는 표기법과 음운·문법·어휘 등의 문제에 관한 많은 사실들이 고찰되었다. 그 고찰을 통하여 미흡하나마 본고에서는 박통사언해의 서지적 특징과 국어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확인해 보았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