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체문학]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

 1  [가전체문학]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1
 2  [가전체문학]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2
 3  [가전체문학]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가전체문학]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내용 연구

2. 요점 정리

3. 이해와 감상

4. 해설

5. 작자연구
본문내용
대나무를 의인화한 가전체 작품으로 고죽군의 아들 자허가 생성옹에 의해 황제에게 천거되어 크게 쓰임을 받고 자손들이 번창하였다는 내용이다. 황제의 조서에는 화왕(모란)과 초제(파초)를 물리치고 굼에 동군이 보낸 한 신하의 형상을 문여가(송대의 서화가)에게 명하여 화상으로 그려 전국에 구하다가 얻은 인물이 관자허라 하였다. 관자허는 속이 비고 밖은 꿋꿋의 여덟 아들은 모두 죽구(竹具) 들이며, 외딸은 부채를 형상화하였다. 결말에는 '사기'의 필법을 빈 찬(贊)이 붙어 있다. 대나무의 절개를 의인화한 최식의 '죽존자전', '이곡의 '죽부인전', 정수강의 '포절군전' 등으로 창작 기교가 뛰어나다.
4. 해설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가전체소설(假傳體小說).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 중 ≪영처문고 叛處文稿≫에 실려 있다. 〈관자허전〉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관씨(管氏)의 본성은 죽씨(竹氏 : 대나무)이다. 그의 선조가 황제에게 발탁되어 황종의 음률을 만들게 되었다. 후손 고죽군(孤竹君)이 자허(子虛)를 낳았다. 그는 속이 비고 외모는 고결하였다. 마침 황제가 인재를 구하는 명을 내리자 생성옹(生成翁)은 자허를 천거한다. 이에 황제는 상림원(上林苑)에서 그를 빈(賓)으로 맞았다. 그러나 자허는 오히려 인사도 없이 뻣뻣하고 거만하였다. 황제는 그의 오만한 절개를 높이 사서 “가슴속 서 말이나 되는 가시를 없앨 만하다.”고 칭찬하였다. 자허는 그 뒤에 아들 여덟과 딸 하나를 두었다. 곧 붓(筆 필)·화살(箭 전)·퉁소(簫 소)·제기(頭 변)·죽간(簡 간)·낚싯대(竿 간)·지팡이(莖 공)·발(簾 렴) 그리고 기춘현부인(菫春縣夫人)이다. 관자허는 그 뒤 60세에 두심병(亘心病)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 후손들은 대대로 위천에 봉해져서 뭇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하고 싶은 말
조선시대 가전체문학 관자허전 분석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