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

 1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
 2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2
 3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3
 4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4
 5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5
 6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6
 7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7
 8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8
 9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9
 10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0
 11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1
 12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2
 13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3
 14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4
 15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5
 16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6
 17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교육계열
  • 2006.11.07
  • 17페이지 / hwp
  • 1,800원
  • 54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논문][국어교육] 남염부주지의 시대적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물과 작품 연구
(1) 김시습과 박생의 일생 비교
1) 김시습의 일생
2) 박생의 일생
3) 두 생애의 비교

(2) 김시습이 작품을 통해서 제기한 현실세계의 문제점
1) 부조리한 사회
2) 박생
3) 문제제기
• 유가적인 세계관 (일리론)
• 이념과 현실의 모순
• 존재와 세계의 모순

(3) 작품에 투영된 김시습의 사상
1) 몽유구조
2) 염왕과의 대화에 반영된 사상
3) 모순 구조
4) 염왕의 의미
5) 염부주의 의미
6) 전체적인 서술구조

(4) 비극적 역설의 시대적 의미
1) 현실을 지배할 수 있는 힘이 없음을 자각
2) 세계와 자신의 모순을 자각
3) 죽은 후 자신이 부정했던 저승으로 가서 염왕이 된 의미
4) 비극적 역설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에는 5편의 단편소설들이 실려 있는데 이들은 그 주제 사상과 예술적 특성으로 보아 기본적으로 두 개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취유부벽정기」는 사랑에 대한 봉건적 구속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지향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들이며「남염부주지」와「용궁부연록」은 환상적 수법으로 봉건 유교 사상에 기초한 작가 자신의 사회 정치적 견해와 이상을 형상적으로 반영한 소설들이다. 사회과학원 문학 연구소, 『조선문학통사Ⅰ』, 이회문화사, 1996, pp. 256
여기서 환상적인 수법은 ‘꿈’이라는 장치인데 이는 주인공의 이계(異界-용궁, 저승) 체험담을 그려내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한편, 「남염부주지」는 다른 네 작품과 달리 특이한 서술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주인공 박생과 염왕이 문답식 대화를 통해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은 김시습이 작품을 통해 현실세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사상을 표출하기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보인다.
아래에서는 「남염부주지」의 서술구조를 살펴보고 내용의 흐름을 통해 작품에서 제시된 다양한 사상의 관점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나아가 작품에 투영된 작가의 의도와 비극적 역설의 의미가 그 당시 시대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2. 인물과 작품 연구
(1) 김시습과 박생의 일생 비교
1) 김시습의 일생 심경호,『김시습 평전』, 돌베게, 2003, pp.3~5

어려서 세종의 칭찬을 받고 비단 필을 허리춤에 묶고 나왔다는 이야기라든가, 승려의 행색으로 거리를 쏘다니며 세조가 정권을 찬탄하는 데 공을 세운 대신을 욕했다는 이야기들을 들어 봤을 것이다. 앞의 이야기는 김시습의 조숙한 천재성을 예시해주고, 뒤의 이야기는 김시습의 절의와 광기를 말해준다.
김시습은 태어난 지 여덟 달 만에 한자를 알았고, 세 살 때는 시구를 지을 줄 알았다. 다섯 살 때 세종의 칭찬을 받은 뒤로 사람들은 그를 오세라 불렀지,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사리를 알았던’ 공자의 환생이라고도 여겨졌다. 하지만 그는 세조가 조카인 단종에게서 왕위를 빼앗고,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시켜 영월에 유폐시켰다가 죽이는 사건을 보고는 세속 권력과의 인연을 끊고 승려가 되어 방랑길에 올랐다.
참고문헌
박일용(2003). 「남염부주지」에 형상화된 부조리와 비극적 역설. 홍익대학교
권순열(1991).『南炎浮洲志」硏究』. 조선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김성기(1982).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사상성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수(1988).『南炎浮洲志의 圓融思想』. 광주대학교
리가원, 허경진(1998).『금오신화․매월당집』. 서울: 한양출판
박찬(1995).『南炎浮洲志硏究』.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1996).『조선문학통사Ⅰ』. 서울: 이회문화사
이정화(1989). 『金時習의 思想硏究』.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기전어문학
최귀묵(2001).『김시습의 사상과 글쓰기』. 서울: 소명출판
최삼룡(1991). 『한국초기소설의 도선사상』. 서울: 형설출판사
심경호(2003). 『김시습 평전』. 돌베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