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

 1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1
 2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2
 3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3
 4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4
 5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5
 6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6
 7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7
 8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8
 9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9
 10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10
 11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11
 12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철학][교육목적론] 좋은 삶과 교육 -John White『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Ⅲ.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Ⅳ. 잘삶과 욕구의 관계 : 교육의 과제


Ⅴ. 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모든 일을 계획할 때에는, 최소한 합리적이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하고자 하는 일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즉 전체적인 목적에서 출발하여 더욱 세부적인 일로 나아가야 한다는 말이다. 국가교육과정을 기획하는 일도 이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 교육의 목적을 정립해 나아갈 때에도 체계적으로 접근해 나아가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기초적으로 수행해야 할 문제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국가교육과정이 인간의 잘삶(well-being) 혹은 잘됨(flourishing)에 대해서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는 점이 없는데 학교교육은 일반 교육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잘 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교육은 ‘아동의 잘삶’을 도모하는 일만을 목적으로 삼지 말고, 그 밖의 ‘다른 사람들의 잘됨’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를 다른 말로 교육의 ‘도덕적 목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세 번째는 인간의 자율성이라는 개념이다.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자기지도적 삶’을 살아갈 아동의 능력을 언급하는 부분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결과적으로 인간의 잘삶, 도덕성, 자율성 등이 조화롭게 상호 연관되어야 종합적으로 교육의 목적을 체계적으로 정립해 나아갈 수 있다.
J.White(이하 화이트) 교육목적론-좋은 삶과 교육(2002)
가 이 책에서 교육의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잘삶’에 대한 정의는 사실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서 매우 주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오지여행가이자 난민구호활동가로 활동 중인 ‘한비야’씨는 ‘잘삶’이란 ‘결과보다는 일의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오늘, 내가 행복해야 한다.’ 는 것으로 보고 있다. http://kdaq.empas.com/qna/4623940?l=e
“나는 머리와 발이 있기 때문에 내가 선택한 것을 못해 낼 이유가 없다.”는 좌우명으로 영부인에서 상원의원의 위치까지 도달한 ‘힐러리 로댐 클린턴’은 ‘잘삶’이란 ‘큰 야망을 품었을 때 커다란 결실을 맺을 수 있으므로 자기가 이루고자 하는 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 으로 본다. magazinegv.com(출처 : '역사와 함께하는 여인들' - 네이버 지식iN)


화이트는 ‘잘삶’에 대한 필요조건으로 ‘도덕적 틀 혹은 기본 도덕’ 과 ‘복지’의 제공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좋은 삶에 관한 다양한 이상들을 공평하게 접해 보도록 함으로써 개인 자신의 삶의 방식을 다른 사람들의 결정에 맡기기 보다는 스스로 선택하게 하는 것도 중요한 조건으로 본다. 그리고 잘삶은 욕구의 위계적 구조화를 고려하여 삶을 전체적으로 보아 자신의 가장 중요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교육은 그 자체가 잘삶의 한 가지 조건이며, 따라서 잘삶의 증진을 도울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 John White. 교육목적론-좋은 삶과 교육. 이지헌 역. 서울:학지사. 2002년.
․ An Agenda for Action. Recommendations for School Mathematics of the 1980s.
․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서울:학지사. 2002년.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 해설(총론편).
․ 교육도서출판사. 수학-고등중학교6.주체1991년, 2002년.
․ 한겨례신문 1996년 9월 26일자 (내가 본 프랑스, 프랑스 인)
홍세화 홈페이지 http://blog.daum.net/shinnara 참조
․ http://kdaq.empas.com/qna/4623940?l=e
․ http://magazinegv.com (출처 : ‘역사와 함께하는 여인들’ - 네이버 지식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