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

 1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
 2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2
 3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3
 4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4
 5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5
 6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6
 7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7
 8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8
 9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9
 10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0
 11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1
 12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2
 13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3
 14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4
 15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5
 16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6
 17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7
 18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8
 19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19
 20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공교육의 개념
현재 공교육의 실태(입시위주 교육)
앞으로 다룰 전반적인 내용 제시

§ 본론 §
1. 입시위주 교육의 원인 및 배경
󰊱 역사적 배경
󰊲 사회적 배경

2.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점
󰊱 학생에게 주는 영향
① 지적편협과 획일화의 문제
② 정서적 파탄
③ 인성교육의 부재 - 전인적 교육의 실패
󰊲 부실한 학교교육
① 교육목적의 상실
② 교육방법의 비교육성
③ 교사능력 저하 - 교사능력 저하
④ 교육기회 균등의 미완성
󰊳 학부모, 사회에 주는 영향
① 학부모의 힘겨운 부담 - 막대한 사교육비 지출
② 사회적 병폐 - 강남 집중화 현상, 빈부격차 증폭
③ 도덕성 붕괴 - 내신 위조, 촌지, 입시부정 등의 부조리

3. 외국의 교육제도(입시제도)와 시사점
󰊱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독일의 대학입시제도
󰊲 외국과 우리나라의 입시제도 비교 분석

4. 현 공교육 문제의 대책 및 해결방안
󰊱 정부 및 교육부, 각계에서 내놓은 대책과 방안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력





§ 참고문헌 §
본문내용
§ 서론 §

청소년 교육 문제 중 입시위주의 공교육 문제를 주제로 선택한 이유는 우리나라 교육의 여러 문제들의 근원에 입시제도라는 교육체제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입시과열, 교실붕괴, 사교육의 대두, 교육이민과 조기유학, 학력저하와 비인간화 현상 등은 입시위주의 교육과 맞물려 발생하게 되는 대표적 교육문제이자 심각한 사회문제들이다. 사실상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은 대학 입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학벌 획득을 신분상승의 주요수단으로 여기고 있다. 교사와 학부모는 아이를 좀더 좋은 대학교에 보내기 위해 애쓰고, 학생 역시 왜 공부하는가의 물음에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라고 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연구의 주제가 입시위주 공교육의 문제이니만큼, 우선 공교육의 개념과 역할을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공교육을 『국가·지방공공단체와 같은 공권력 주체가 행하는 교육활동』이라고 정의하고, 공교육제도를 『국가 혹은 준 국가적 자치조직의 통제와 관리와 지원에 의해서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운영되는 교육제도』라고 규정한다. 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공교육이란 초등학교, 중 ․ 고등학교에서 교사의 지도 하에 이루어지는 교육을 가리킨다. 공교육의 특징으로는 기본적이고 공적인 가치를 교육하는 ‘소양교육’, 비전문적인, 일반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보통교육’, 경제적 능력, 종교적 신념, 사상, 성 등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교육인 ‘평등교육’ 등을 들 수 있다.
공교육에서 특히 중요한 이념은 ‘평등교육’으로, 누구나 적령기가 되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인간이 갖추어야할 기본적 소양과 사회인으로 생활하기 위한 기초지식 및 교양을 교육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중요하게 인식해야할 것은 교육 기회의 평등은 보장하되 교육의 결과에 대해서는 경쟁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즉, 교육은 계층상승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는 점이다. 좋은 대학에 입학하면 보다 나은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특징은 공교육을 대학입학만을 위한 입시위주 교육의 장으로 만들었다. 현재의 학교는 실질적으로 입시와 관련된 교육활동을 계획 ․ 시행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학생들은 수능 시험에 출제되는 교과목의 공부를 하는데 매진한다. 인간의 내재적 가치를 함양하고 이를 통해 인간다운 인간을 길러내는 인간 본질의 완성을 추구하는 교육 본연의 목적은 퇴색한지 오래다.
참고문헌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 1993. 정범모 외. 나남출판사
선진국의 학교 교육 -- 한결 출판사꺼라는데 자세한건 몰게따, 이너넷으로 책검색 함 해봐
21C를 향한 교육 개혁 1999. 정범모 외. 민음사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2002. 윤정일. 교육과학사
한국의 교육세력 2000. 정범모. 나남출판
교육열의 사회 문화적 구조 -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이것도 검색해보궁~
미래를 위한 한국 교육 1997. 이상주. 교육과학사
근대화, 정보화, 그리고 한국교육. 1996.고형일. 교육과학사
한국의 갈등 구조, 1991. 한준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한국 경제 리포트 삼성경제연구소 홍순영 김범식 외 지음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역사비평사 역사비평사 편지위원회 지음
한국사회와 리더십 나남출판 이행원지음
학교가 환자를 만드는가 1993 Frits Wandel
왕따 리포트 1999 (주)가우디 우리교육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1998 천보선 김학한 한울 출판사.
한국교육세력 정범모 나남출판 200년



김승호(1985) [1970년대 상대적 과잉교육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정치경제학적 일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http://www.hakbumo.or.kr/PDS/content.asp?id=955&gotopage=1&xcode=7&mcode=6
http://www.president.go.kr/cwd/kr/index.php
http://blog.naver.com/corks/508820
http://cafe.naver.com/sixdiv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153910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22342
http://1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