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

 1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
 2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2
 3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3
 4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4
 5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5
 6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6
 7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7
 8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8
 9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9
 10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0
 11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1
 12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2
 13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3
 14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4
 15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5
 16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6
 17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7
 18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8
 19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19
 20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교육과정의 가치,도입배경,운영지침, 국어과,사회과의 수준별교육과정, 수준별교육과정의 고려사항,과제
  • [수준별교육][수준별수업][교수학습자료]수준별교육(수업) 교수학습자료의 의미와 종류, 수준별교육(수업) 교수학습자료의 개발목적과 개발방향, 수준별교육(수업) 교수학습자료의 개발방안과 과제, 수준별교육(수업) 교수학습자료 관련 시사점 분석
  • [수준별수업집단]수준별수업집단(학습집단, 교육집단)의 분류와 편성지침, 수준별수업집단(학습집단, 교육집단)의 편성운영, 수준별수업집단(학습집단, 교육집단)의 편성유의점, 수준별수업집단(학습집단, 교육집단)과 우열반의 비교
  • [단계형 수준별수업][수준별학습][수준별교육과정]단계형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의 정의와 의의, 단계형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의 단계와 편성, 단계형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의 운영형태와 연구사례, 단계형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의 제고방안
  • 수준별교육과정(학습,수준별수업)심리학적배경,운영, 수준별교육과정(학습,수준별수업)쟁점,사례,개선방향
  •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개정, 기본방향, 구성방침, 제7차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수준별교육, 문제점, 제언
  •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정의,취지,유형,쟁점,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운영,제고과제,제언
  •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특별활동, 제7차교육과정의 재량활동, 제7차교육과정의 학교교육과정, 제7차교육과정의 수준별교육과정
  • [학교사회] 수준별교육과정의 원리에 대한 접근
  • [세대공동체교육, 세대공동체, 세대, 공동체] 세대공동체의 개념과 세대공동체교육의 중요성, 세대공동체교육의 쟁점 및 향후 세대공동체교육의 활성화 방안 심층 분석
  • 소개글
    [교육사회심리학] 교육집단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교육집단화의 의미

    2. 교육집단화의 분류 유형
    2.1 기본적 구분: 동질적 집단화·이질적 집단화·능력별 집단화
    2.2 능력별 집단화의 유형: 학교 간 집단화·학교 내 집단화·학급 내 집단화
    2.3 수준의 구분에 대한 기준: 교과과정 집단화 vs. 능력별 집단화

    3.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Ⅰ: 수준별 교육과정(능력별 집단화의 예)
    3.1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념 및 종류
    3.2 수준별 수업실시현황
    3.3 수준별 반편성 외국사례
    3.4 운영상의 문제점
    3.5 수준별교육과정의 교육사회심리학적 접근: 교사의 기대효과와 자아개념의 문제
    3.6 수준별 교육과정의 긍정적 측면

    4.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Ⅱ: 학생선택중심 교육과정(교과과정 집단화의 예)
    4.1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개념 및 구성
    4.2 선택중심 교육과정 실시 현황
    4.3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외국사례
    4.4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일반적인 문제점 및 해결방안
    4.5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교육사회심리학적 접근: 학생의 동기 유발의 문제

    5. 관련 인터뷰 자료 요약
    6. 나가며: 교육집단화에 대한 우리의 생각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교육집단화의 의미

    오욱환(2003)에 따르면, 집단화란 “학생들을 선발하거나 분류하여 학교, 학급 또는 다른 교육적 프로그램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p. 377). 비록 교육 집단이 그 구성원의 성격에 따라 이질적 집단, 동질적 집단, 능력별 집단으로 나뉜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에 비슷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모아서 가르치는 동질집단화 곧, ‘능력별 집단화’(ability grouping)를 의미한다. 교육에서 능력별 집단화가 제도적으로 추진되고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지받는 이유는 능력별 집단화의 교육적 효율성이 너무도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능력별 집단화의 교육적 효율성이 분명해 보인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검증 작업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으며, 학자들 간에도 가장 오래되고 심각한 쟁점으로 남아있다. 왜냐하면 능력별 집단화 논의의 기저에는 업적주의와 평등주의 가운데 어느 교육관을 취하는가 하는, 교육관의 차이 문제가 놓여있기 때문이다.
    교육집단화 혹은 능력별 집단화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에는 계열화(tracking)가 있다. 계열화는 일반계열과 실업계열과 같은 복선제 교육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일반 계열과 별도로 실업 계열 교육 과정을 두고 있으나 그 상호간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복선제와 단선제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먼저 교육 집단화를 ‘능력별 집단화’와 ‘교육과정 집단화,’ 두 유형을 중심으로 나누어 제 7차 교육과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살펴본 뒤, 교육에서 집단화를 수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2. 교육집단화의 분류 유형

    교육에서의 집단화를 분류하는 유형은 무엇을 기준으로 놓느냐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먼저 1) 구성원의 성격에 따른 교육 집단들과 2) 집단의 규모에 따른 교육 집단들을 나누어서 살펴보고, 이 보고서에서 따르고자 하는 분류 유형인 ‘능력에 의한 집단화(grouping by ability)'와 ’교과과정에 의한 집단화(grouping by curriculum)'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현석(2003). ‘외국의 선택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및 정책상의 합의’,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7권, 제2호.
    교육부(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1997-15호, 교육부.
    김갑식(2001).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의 쟁점과 해결”.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 시행 을 위한 방안 탐색.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병철(2003). 제7차 교육과정 수행에 관한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전북대학 교 교육대학원.
    김재춘(1997). 다시 생각해 본 수준별 교육과정, 「교육과정 연구」, Vol15, No.2.
    김재춘(1997). 미국의 교육개혁 동향, 「교육개발」, 통권108호.
    김재춘(1999).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김재춘(2004). ‘수준별 이동 수업;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교육개발원주제 세미나 자료집.
    김재춘, 박소영(2004).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분석’, 수산해양교 육연구, 16(1), 69-83.
    박선화(2005). ‘수준별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세미나 자료집. 한국 교육평가원.
    박순경 외(2004). 교육과정 개정 관련 국가. 사회적 요구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박순경(2004).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윤동혁(1997). 제 3의 변혁을 꿈꾸는 일본의 교육.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교육」. 문음사.
    이상우(2001).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 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사회전공.
    정영근(1997). 인문교육과 직업교육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