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

 1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1
 2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2
 3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3
 4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4
 5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5
 6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6
 7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7
 8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8
 9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9
 10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10
 11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11
 12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12
 13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13
 14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서정론] 쌍화점 작품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원문

▶ 考
Ⅰ. 머리말
Ⅱ. 작품의 생성 과정
1. 시대 배경
2. 작자
Ⅲ. 작품의 분석적 고찰
1. 작품의 형식과 내용
2. 작품의 의미
3. 작품의 공연 형태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알려진 바와 같이 은 조선조의 유학자들에 의하여‘男女相悅之詞’로 배척된 작품이다. 그간 많은 논자들이 이 작품에 관하여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여 왔으나, 아직도 많은 부분에 있어 합의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이 작품이 그만큼 논란의 여지가 많음과 함께, 역으로 아직도 논의할 가치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문학적인 연구로는 이 작품과 관련된 제반 문헌 기록을 검토하여 작자와 작품의 생성 배경, 당대 충렬왕과의 관련 사실 등을 밝힌 역사주의적이고 실증주의적인 연구와 함께, 작품 분석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 연구 성과 쟁점별 정리】

첫째, 작자 문제를 들 수 있다.

①양주동: 일찍이 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당시 京都 부근에 유행된 俗謠”라 하여 민간에 유행하던 속요로 보았고, 장덕순, 서수생, 전규태 등이 이에 동조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양주동,「여요전주」(을유문화사, 1947), p253
장덕순,「국문학통론」(신구문화사, 1960), p.125
서수생,「고려가요연구」,「경북대 논문집」제5집(경북대학교, 1962), p.28
전규태,「한국고전문학의 이론」 (정음사, 1974), p.214


②정병욱: 양주동의 속요설을 “주관적인 해석이 소산”이라며 정면으로 반박하고, 관련 문헌의 기록을 근거로 의 작자를 “충렬왕 대의 행신인 오잠 ․ 김원상 ․ 석천보 ․ 석천경의 합작이거나, 그 중 어느 한 사람의 작임에 틀림없다.”고 하였다. 정병욱,「쌍화점고」,「한국고전시가론」(신구문화사, 1980), pp.114~119


③여증동: 위의 논의에서 더 나아가 高麗史 列傳의 ‘新聲’이란 어휘에 주목하여 ‘행신 오잠의 소작’이라고 단정하였다. 여증동,「쌍화점 고구(期一)」,「어문학」제19호(어문학회,1968),p.28


④박노준: 이처럼 작자에 관해서는 항간의 속요로 보는 견해에서 출발하여 문헌 기록에 근거를 둔 작자 추정론으로 대세가 기운 듯 하였으나, 박노준이 제반 관련 문헌 기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은 어느 특정인이 창작한 가요가 아니라 여항에서 불려지던 노래를 오잠 ․ 김원상 등이 전국에 파견한 행신들에 의해 궁중에 유입된 가요라고 새롭게 문제를 제기하였다. 박노준, 「쌍화점고」,「한국학논집」제11짐(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987), p.17

참고문헌
김대행 편, 고려 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5
김형규, 고가주석 백영사. 1995
동아대 고전연구실 역, 고려사, 태학사 1971
박노준, 쌍화점고, 한국학논집 제11집,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987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선명문화사, 1974
서수생, 고려가요 연구, 경북대 논문집 제 5집, 경북대학교, 1962
송정헌, 쌍화점 연구, 충북대 논문집 제17집, 충북대학교, 1979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47
여운필, 쌍화점 연구, 국어국문학 제92호. 국어국문학회, 1984
여증동, 쌍화점 고구(其一), 어문학 제19호. 어문학회, 1968
여증동, 쌍화점 고구(其二), 국어국문학 제47호, 국어국문학회, 1970
여증동, 쌍화점 고구(其三), 국어국문학 제53호, 국어국문학회, 1971
여증동, 쌍화점 고구, 향가여요연구, 이우출판사, 1985
윤경수, 쌍화점에 나타난 인간자세, 현대문학 통권98호, 현대문학사, 1963
이성주, 고려시가의 연구-그 사회 의식을 중심으로-세종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0
전규태, 한국고전문학의 이론, 정음사 1974
전규태, 한국시가연구, 고려원, 1986
정병욱, 쌍화점 고구,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0
정병욱, 악기의 구음으로 본 별곡의 여음구,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정혜원, 무악으로서의 고려가요고찰, 정병욱 선생 환갑기념논총, 신구문화사,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제2판), 지식산업사, 1989
차주환 역, 고려사 악지, 을유문화사, 1972
최미정, 쌍화점의 해석,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한우근, 한국통사(개정판), 을유문화사, 1990
황패강, 윤원식 편, 한국고대가요, 새문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