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

 1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1
 2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2
 3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3
 4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4
 5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5
 6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6
 7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7
 8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8
 9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9
 10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철학사상]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A+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애 및 저서

2. 성리학

3. 주리철학사상이란

4.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
⑴ 배경 및 특징
⑵ 주리철학사상의 영향 및 시사점

5. 느낀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생애 및 저서
이언적(1491-1553)은 조선시대 전기의 철학자로 본관은 여주이고 호는 회재(晦齋)·자계옹(紫溪翁)이며 자는 복고(復古)이고 이름 적이다. 시호는 문원(文元)이고, 원래 이름은 적(迪)이었으나 중종의 명령으로 언적(彦迪)으로 고쳤다.그는 10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12세 때부터는 외숙인 손중돈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23세 때에는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25세 때부터 벼슬길에 올라 주학교관, 성균관전적, 춘추관기사관, 병조정랑, 이조정랑, 성균관사성, 사간, 사예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1530년 그는 사간으로 있으면서 권신인 김안로 등의 배척을 받아 정계에서 은퇴하고 고향 자옥산 아래로 돌아가 독락당을 짓고 안거한 채 세상과 인연을 끊고 오직 유학을 연구하는 데만 몰두하였다. 7년 후인 1537년 권신 김안로가 죽고 나서 이언적은 조정의 부름을 받고 다시 관직에 중용되었다. 그 후 그는 홍문관부교리, 직제학, 대사성, 대사헌, 이조판서, 형조판서 등 조정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547년 그는 다시 권신인 윤형원 일파의 시기를 받아서 강계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7년 후에 사망하였다. 이 유배기간 중 그는 저술에 전념하였는데 그가 남긴 대부분의 저작들은 이 때 씌어진 것들이다. 그의 저작에는《구인록》(1550)·《대학장구보유》(1549)·《중용구경연의》(1553)·《봉선잡의》(1550) 등이 있다. 《구인록》(4권)은 유교경전의 핵심개념으로서 인(仁)에 대한 그의 집중적인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유교의 여러 경전과 송대 도학자들의 설에 인의 본체와 실현방법에 관한 유학의 근본정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장구보유》(1권)와 《속대학혹문》(1권)은 주희의 《대학장구》나 《대학혹문》의 범위를 넘어서려는 그의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그는 뒤따르는 도학자들보다 훨씬 자율적인 학문태도를 가졌다. 곧, 주희가 《대학장구》에서 제시한 체계를 개편하였다.특히, 주희가 역점을 두었던 격물치지보망장(格物致知補亡章)을 그는 인정하지 않고, 《대학장구》의 경1장에 들어 있는 두 구절을 격물치지장으로 옮기는 계획을 하였으며, 이런 개편에 대해서 주희가 다시 나오더라도 이것을 따를 것이라는 확신을 보여주고 있다.이러한 그의 태도는 주희의 한 글자 한 구절을 금과옥조로 삼아 존숭하는 후기의 학문태도에 비하여 매우 창의적인 학문정신을 보여준다.《중용구경연의》(29권)는 그의 미완성 절필이다.이 저술도 주희의 《중용장구》나 《중용혹문》의 체계를 훨씬 벗어나서 천하국가를 통치하는 방법의 9경(수신·존현·친친·경대신·체군신·자서민·내백공·유원인·회제후)을 중심으로 중용정신을 밝히려는 독창적인 저술이다.이 저술은 진덕수의 《대학연의》가 대학체계를 통치원리의 구체적 실현방법에 응용하였던 것에 상응한 저술이요, 뒷날 이현일이 《홍범연의》를 저술한 것에 선행한다고 할 수 있다.그는 주희가 《대학》과 《중용》을 표출시킨 의도를 계승하면서도 《대학》과 《중용》의 정신을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의 양면으로 파악함으로써 도학의 통치원리를 선명하게 제시하는 창의적 견해를 가졌다고 하겠다.봉선잡의》(2권)는 도학의 실천적 규범인 예서를 제시한 것으로서 조선조 후기 예학파의 선구가 되고 있다.주희의 《가례》가 조선조 사회에 미친 영향을 주목
참고문헌
이종호, 회재 이언적, 일지사, 2001, p.11~140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아카데미, 1997, p.149~160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p.159~165, p.349~360
이지경, 회재 이언적의 정치사상, 한국학술정보(주), 2006 p.64~69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p.446~4552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가 연구, 철학과 현실사, 2002, p.72~92
김락진, 晦齊 李彦迪의 心性論 硏究, 고려대학교, 1987 p.1~6
김동혁, 寒洲 李震相의 主理哲學에 關한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大學院,, 1983, p.1~22
이병도, 이회재의 학문과 그 영향, 한국유학사, 아세아 문화사, 1987
네이버 백과사전 참조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1&eid=uFomSEUhefzL6thzkfmW/gkrlGIqvEuQ&qb=wMy+8MD7 참조

하고 싶은 말
이언적의 주리철학사상에 대해서
4명의 조원들이 한달간 머리쥐어짜내며 만든 레포트입니다
정말 열심히 조사한 자료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길바라며....
A+레포트~~!!@@!!~~ 항상행복하세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