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

 1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1
 2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2
 3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3
 4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4
 5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5
 6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6
 7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7
 8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8
 9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9
 10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놀이]꼭두각시놀음과 발탈 그리고 덧뵈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꼭두각시놀음
1. 명칭과 계통
1)명칭
2)계통
2. 연행의 시공간
3. 구성원리
1)구성요소
2)과장의 구성
3)대잡이와 악사 그리고 산받이
4. 주제와 사회적 기능
1) 주제
2) 사회적 기능
5. 인형
1) 인형의 제작
2) 인형의 조종
Ⅱ. 발탈
1. 발탈의 발생과 변천
2.발탈의 기구와 놀이형식
Ⅲ. 덧뵈기


본문내용
Ⅰ. 꼭두각시놀음

1. 명칭과 계통

1)명칭
대개 꼭두각시놀음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대개 다른 등장인물인 '박첨지'나 '홍동지' 이름을 따서 '박첨지놀음' 또는 '홍동지놀음'이라고 하며, 남사당패에서는 '덜미'라고도 부른다.
꼭두각시놀이의 명칭과 유래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중국의 곽독이 수용되어 독자적인 꼭두각시 놀음으로 성립, 발전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명칭 또한 조선조 중기에 이르러 박첨지와 홍동지 의 극중역할이 꼭두각시역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증대되면서 놀이의 명칭도 '박첨지놀음'에서 '홍동지' 놀음으로 혼용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계통
꼭두각시놀음은 크게 두 가지 계통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남사당패가 주체가 되어 연행한 인형극이며, 다른 하나는 남사당패의 연행을 익혀서 농민들 스스로 연행한 인형극이다.
남사당패에서 연희되어온 꼭두각시놀음은 '덜미'라고도 하며 전체 2마당 7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다음으로 농민들에 의해 스스로 연행한 인형극으로 서산에서 전해져 오는 박첨지놀이를 살펴보면 서산시 탑곡리 출신 주연산씨가 1920년경 강원도에서 온 이주민으로부터 이 놀이를 배웠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참고문헌
서연호 『꼭두각시놀음의 역사』, 연극과 인간, 2000
윤광봉 『유랑예인과 꼭두각시놀음』, 밀알, 1994
『남사당패연구』,
정병호 「발탈연희에 대하여」, 한국민속학, 1983
조동일 「발탈 조사 보고서」, 한국민속학보, 1995
허용호 「연구」, 서강어문학회, 1998
임재해 「꼭두각시 놀음의 대립양상과 사회의식」, 한국민속학, 1980
김현철 「꼭두각시 놀음의 「산받이」연구」, 한국민속학,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