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

 1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
 2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2
 3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3
 4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4
 5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5
 6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6
 7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7
 8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8
 9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9
 10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0
 11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1
 12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2
 13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3
 14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4
 15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5
 16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6
 17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문화재]민속극의 연행현장과 연행방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행현장과 연행방식에 주목하는 이유
2. 민속극의 연행현장
1) 세시를 중심으로 한 축제적 시간
2) 열린 공간으로서 마당
3) 열린 구조를 갖는 공연상황
3. 마당극의 연행방식
1) 광대와 구경꾼의 상호작용
2) 소외효과
4. 각 갈래별 특수성
1) 탈춤
2) 꼭두각시놀음
3) 잡색놀이
4) 굿놀이
5. 연행현장과 연행방식의 계승과 재창조
(탈춤연행공간의 현대화를 중심으로)
6. 우리들의 생각
본문내용
1. 연행현장과 연행방식에 주목하는 이유

우리 민속극은 민중들의 의식을 담고 있기 때문에 여러 학자에 의해 주목되어 연구되어 왔다. 민속극은 민중들이 지닌 사회의식을 비판적 풍자를 통해 표현한 예술이다. 그런데 민속극의 내용은 고정적이지 않고 구비전승 되어오면서 그때 그때의 민중의식을 역동적으로 받아들여 변화한다. 때문에 민속극은 연행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민중들의 의식을 담아낸 것이 축적되어 전승을 통해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민속예술 중에서도 특히 민속극은 역동적으로 연행되는 가운데 대부분 공동체 단위 속에서 생산되고 향유되는 만큼 이러한 생산과 향유가 어떤 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는 문제가 민속극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극의 연행공간은 개방적이라고 말한다. 이는 민속극이 연행되는 동안 관중들이 극내용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참견하여 극의 내용을 주체적으로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민속극의 개방적 연행공간은 관객과 분리되어 있지 않은 민속극 외부의 공간과 민속극내용이 관객의 손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는 내부의 공간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현순,「탈춤의 연행원리에 입각한 마당극의 창조적 모색」, 2001.
김욱동,『탈춤의 미학』, 현암사, 1994.
서연호,『꼭두각시 놀이』, 열화당, 1988.
이혜영,「탈춤 연행 공간의 역사적 변화과정과 현대화 문제」,안동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8.
조동일,『한국탈춤의 역사와 원리』, 기린총서, 1998.
한양명 외,『민속 예술의 이해』, 2001.
한양명 외,『민속 놀이의 세계』,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