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

 1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
 2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2
 3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3
 4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4
 5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5
 6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6
 7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7
 8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8
 9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9
 10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0
 11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1
 12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2
 13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3
 14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4
 15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5
 16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6
 17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06.12.19
  • 17페이지 / hwp
  • 2,800원
  • 84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현황 분석 및 교류 증진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I. 서론 1
II. 한국과 베트남 간 협력관계 및 교류현황 2
1. 한국과 베트남 간 협력관계 2
2. 한국과 베트남 간 경제적 교류현황 4
가. 베트남의 경제 동향 4
나. 한 - 베간 경제교류 현황 5
1) 한국과 베트남 간 무역현황 분석 5
2) 한국의 대 베트남 투자현황 7
다. 문화산업 : 베트남 내 한류현상 7
III. 한국과 베트남 간 교류의 한계와 증진방안 9
1. 교류의 한계 9
가. 경제적 교류 한계 9
1) 무역 불균형 문제 9
2) 언어장벽 9
3) 베트남 사회의 정치. 사회적 문제 9
나. 한류의 한계 10
2. 교류 증진방안 10
가. 정부차원의 경제협력 증진방안 10
1) 무역불균형 시정 10
2) 한-베트남 투자보장 협정을 통한 증진방안 11
3) 법인세법 개정을 통한 증진방안 11
4) 소득세법의 개정을 통한 증진방안 11
5) 경쟁법 제정을 통한 증진방안 11
나. 기업의 투자 증진방안 11
1) 신 마케팅 전략 도입 11
2) ASEAN 회원국내 부품 아웃소싱 확대 12
3) KOTRA의 국내기업 지원 기능 적극 활용 12
4) 장기적인 ASEAN 투자 전략 지도 수립 12
5) 진출기업 애로사항 조사를 통한 제조환경 개선 추진 12
다. 문화교류의 증진방안 12
IV. 결론 13
참고문헌 14

< 표 목차 >
표 7-1 : 한-베 주요협정 체결현황 2
표 7-2 : 베트남의 주요 경제지표 추이 4
표 7-3 : 한-베트남 교역현황 5
표 7-4 : 우리나라의 대 베트남 10대 수출입 품목 5
표 7-5 : 한․중․일 대 베트남 시장점유율 6
표 7-6 : 우리의 대 베트남 투자추이(총신고기준)한․중․일 대 베트남 시장점유율 7
표 7-7 : 대 베트남의 업종별 투자(·04. 9. 총 신고 누계기준) 7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는 ‘블루오션 전략’ (차별화와 저비용을 통해 경쟁이 없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려는 경영전략)을 적용해 볼 때, 우리가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국가들은 인건비가 싸고, 개발 가능성이 큰 개발도상국일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과 역사,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베트남과 한국의 관계를 연구의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베트남은 1986년 “도이모이”노선의 채택으로 시장경제질서로의 체제전환을 선언하였고, 현재는 아시아에서 중국 다음의 고성장을 지속하면서 2020년까지 “현대화, 공업화”를 목표로 성장을 꾀하고 있는 신흥개도국이다. 베트남은 풍부한 양질의 노동력과 천연자원, 적극적인 대외개방정책, 정치․ 경제적 안정 등으로 현재 서방국가는 물론이거니와 세계 각국에서 가장 유망한 투자대상국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이평복, 베트남 투자 핵심 가이드(KOTRA, 2002), p.5.
게다가 2006년 11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승인, 아시아ㆍ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로 베트남의 세계경제에서의 입지는 보다 견고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 베트남의 경제교류는 베트남전 파병으로 1970년대 중반이후 10여 년간 단절되어 왔으나, 1980년대 후반에 재개되었다. 미국의 엠바고조치로 지연되어오던 양국의 교류는 1992년의 국교정상화를 계기로 본격화 되었다. 수교 이후 무역협정 등을 체결함으로써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고, 이를 바탕으로 교역 및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더욱이 한-베트남 경제공동위의 설치, 한-베트남 경제정책협의회의 설치, 베트남에 대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공여합의 등으로 양국의 경제협력기반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신동규, 베트남 국가현황 및 진출방안(한국수출입은행, 2004), p.7.
이어서 90년대 말부터 중국을 중심으로 불기 시작한 한류 열풍이 베트남에 상륙하게 됨으로써 양국의 문화교류 또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권율. 베트남 개황.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남기만. 한-베 경제협력 현황. 주 베트남 한국 대사관, 2004.
남유선. 베트남 투자설명회. KOTRA, 1997.
무명. "베트남 한류를 키우자." 연합뉴스, 2005.
무명. 양자 경제통상 관계. www.mofat.go.kr, 2006.
문헌목. 베트남 투자 가이드. 한국수출입 은행, 1997.
신동규. 베트남 국가현황 및 진출방안. 한국수출입은행, 2004.
신의아들. "베트남 WTO 가입." http://cafe.naver.com/betnam/1570, 2006.
심상민. "한국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긴급제언." CEO Information 제 316호. 삼성경제연구소, 2002.
양선미. “한·중 문화교류 협력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윤일진. “한국기업의 해외직접 투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산업경영벤처대학원, 2001.
이상근. 베트남 활용 방안. KOTRA, 2002.
이성우. “對베트남 投資進出方向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무역대학원, 1992.
이재출. “한류의 현황과 활용전략.” 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4.
이평복. 베트남 투자 핵심 가이드. KOTRA, 2002.
Vu Son Thuy. 배양수 옮김. 베트남 베트남 사람들. 대원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