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

 1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
 2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2
 3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3
 4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4
 5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5
 6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6
 7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7
 8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8
 9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9
 10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0
 11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1
 12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2
 13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3
 14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4
 15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5
 16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6
 17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7
 18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8
 19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19
 20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족주의 사관과 객관적 역사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역사관, 역사서술의 관점

1. 한국의 민족주의

2. 정치사 vs 생활사

3. 승리자 vs 패배자

Ⅲ. 교과서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 사회교과서 중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1. 교과서 분석과 대안

2. 교과서 분석과 대안 - 6학년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결론 및 대안

Ⅳ. 구체적인 대안

1. 수업의 계획

2. 수업의 실제 (교수 ․ 학습 과정안)


본문내용
「사회과 교육 Ⅱ」
객관적 사실과 주체적 역사관
- 역사교육, 아이들에게 보다 가깝게 접근하다.





Ⅰ. 들어가며
역사뿐만이 아니라 어떠한 글이라 하면 기록되는 순간 서술자의 주관이 개입이 되기 마련이다. 서술자의 주관은 시대적 상황과 문화적 맥락, 이데올로기 등에 따라 서술자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형성되는 역사 서술의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장에서 교사가 기록된 것을 바탕으로 한 역사를 교육한다고 할 때, 그 역사 속에 담겨있는 상황과 시대, 패러다임에 따른 역사관 역시 아동에게 전달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러면 역사를 배우는 아동은 역사 속에 담긴 역사관을 영문도 모른 채 일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특히 나 자신의 역사적 관점을 명확히 하지 못하고 받아들이는 역사교육이라면, 역사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자신이 그 역사 속의 주체로서 의미를 구성하고 탐색해가는 과정’ 없이 역사를 현재와 연결시키지 못한 채 나와 동떨어진 어느 시대의 한 이야기로 치부하여 학습하는 꼴이 된다.
그렇다면 역사를 교육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완전히 건조한 역사적 ‘사실’만을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할까? 역사의 서술을 가능하게 하는 역사관은 각각 그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니고 있고 다양한 역사관이 공존하고 변화함에 따라 더욱 풍부하게 역사를 이해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때로는 지나친 역사관으로 역사의 본질이 왜곡되면 국가간 갈등이나 분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역사가 얼마나 ‘객관적’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역사 속에 담긴 시각이 얼마나 정당한지 또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 보게 하는 역사교육이 현재 흐르고 있는 역사와 미래의 역사를 탐색하는데 가치가 있을 것이다.
우리 조에서는 현재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역사관과 서술방식을 교과서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고찰하여 앞으로의 역사교육은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할지, 교과서는 어떻게 달라지는 것 나을지 탐색해 보고 구체적인 방안과 그에 따른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성해 보았다.

참고문헌
주영하․김소현․김호․정창권, 『19세기 조선, 생활과 사유의 변화를 엿보다, 2005, 돌베개
한미라․전경숙, 『한국인의 생활사』,2004, 일진사
안병우 외. 『한국사 교과서의 희망을 찾아서』, 2003. 서울: 역사비평사
이존희, 『역사교육, 달라져야한다』, 2001, 서울: 도서출판 혜안
유봉학, 『한국문화와 역사인식』, 2005, 서울: 신구
김한존 외.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2005, 책과함께
송기호, , 2004, 한국교육공학학회
우인수, , 1999, 역사교육학회
구자순, , 1991, 한국사회학회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한국생활사박물관』, 2000, 서울 : 사계절
한국역사연구회,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004, 청년사
한국역사연구회,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004, 청년사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004, 청년사
문동석, 2005, 초등 역사교육: 과거와 현재, 국학자료원
최완기, 2002, 역사교육과 학습내용의 선정, 느티나무
이종하, 2003, 우리민중의 생활사, 주류성
안병우, 2003, 한국사 교과서의 희망을 찾아서 :21세기 한국사교과서와 역사교육의 방향, 역사비평사
3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 교육부
4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 교육부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 교육부
6학년 1학기 사회교과서, 교육부
6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