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

 1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
 2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2
 3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3
 4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4
 5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5
 6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6
 7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7
 8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8
 9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9
 10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0
 11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1
 12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2
 13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3
 14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4
 15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5
 16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6
 17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7
 18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8
 19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19
 20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 고려시대무인정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상황

2. 무신란의 원인

3. 무신의 난(정중부의 난)

4. 이고의 반란

5. 이의방의 집권

6. 정중부의 집권

7. 경대승의 집권

8. 이의민의 집권

9.무신정권 후기의 상황

10. 무인정권의 의의

11.

12. 󰂎 무신정변(무신정권)과 『 박정희 - 5. 16군사 쿠데타 』

본문내용
1. 시대상황
-‘이자겸의 난(1126)’, ‘묘청의 난(1135)’, ‘무신의 난(1170)’
⇒약 50년 사이에 반란이 거듭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데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무신정권의 성립을 들 수 있음
⇒조선 초기 역사가들은 이 무신정권을 기준으로 전기는 매우 긍정적으로 서술하였으
며, 후기는 문란한 사회로 서술함

-무신정권은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음
(1)제 1기(1170~1196) : 원래는 이의방이 정권을 잡았지만 실제로 그도 정중부와 손을 잡지 않고서는 불가능 했던 것으로 보인다. 훗날 정중부가 이의방의 권력이 두려워 두문분출 하고 있을 때 부자의 연으로 정중부와의 연을 이어갔다.
정중부-경대승-이의민
(2)제 2기(1196~1257) : 4대에 걸친 최씨 정권
(3)제 3기(1258~1270) : 김준-임연-임유무

2. 무신란의 원인

1) 우문정책에 따른 문 ‧ 무의 차별

고려를 건국한 태조와 무훈공신들은 무장출신들이었다. 그러므로 개국 초기에는 문무에 대한 차별의식이 표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다가 광종 9년 새로운 관리 선발 방식인 과거제가 도입, 시행되면서부터 문 ‧ 무 양반의 구별이 생겨나게 되었다. 과거제의 실시는 유교사상이 정치이념으로 기능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문치주의의 핵심이다. 과거시험의 과목에 있어서도 무과는 거의 실시된 적이 없었다.
무반 관직은 상장군인 정3품까지만 마련되어 있다. 그 이상으로 승진할 때에는 문반직을 받아야 했다. 형식상으로는 무반들이 문반으로 바꾸어 승진하는 규정이 있지만 실제로는 2품 이상의 재상이 된 적이 없다. 큰 공을 세운 강조나 탁준경 같은 경우는 드문 경우였다. 고려의 정치제도는 재상 중심으로 짜여 있어서 무반은 실제로 정책 결정에 배제되었다.
더구나 최고 사령관직을 군인이 아닌 문관들이 차지하였다. 거란의 전쟁을 총지휘한 서희와 강한찬, 여진 정벌을 총지휘한 윤관, 묘청의 반란을 평정한 김부식 등은 모두 문관이었다. 지방의 수령도 과거에 합격한 문관 출신이어야 임명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이른바 노상상견례라는 규정이 있다. 문관과 무관이 길에서 만나면 문관은 자기보다 한 등급 높은 무관과 동등한 자세를 취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 참고: 고려 무신정권시대 文人知識層의 현실대응- 김호동(金晧東), 景仁文化社,
공통연구- 고려문인집권기의 정치구조: 무인집권기 문신관료의 정치이념과 정책- 김인호
고려 무인정권 연구 - 김당택
고려 무인 정권과 명학소민의 봉기 - 김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