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

 1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
 2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2
 3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3
 4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4
 5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5
 6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6
 7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7
 8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8
 9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9
 10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0
 11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1
 12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2
 13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3
 14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4
 15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5
 16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6
 17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7
 18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8
 19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19
 20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극] 오태석의 `환절기` -부조리극의 특징 및 현대 실험연극과 영화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기

II. 부조리극이란?
1. 부조리극의 정의
2. 부조리극의 등장배경
1) 표현주의극
2) 실존주의 극
3) 부조리극의 등장 및 영향
3. 부조리극의 발전양상
1) 현대실험연극 -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① 퍼포먼스의 개념 및 대표작품
② 연극으로서의 퍼포먼스
③ 로버트 윌슨의 󰡔바다의 여인󰡕
2) 현대실험영화 - 초현실주의 영화를 중심으로
① 초현실주의 영화
② 영화 속 부조리극의 요소

III. 오태석의 환절기 작품분석
1. 오태석은 누구인가?
2. 오태석의 활동시기 ―1960년대의 한국 희곡과 부조리극의 발전 과정
3. 환절기의 작품분석
1) 내용적측면 - 텍스트를 중심으로
① 인물 분석
② 텍스트분석
2) 형식적 측면 - 공연시 드러나는 특성을 중심으로
① 무대지시문
② 연극적 장치
③ 대사

IV. 나가기

V. 각주외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들어가기
부조리주의가 처음으로 광범위한 세간의 이목을 끌게 된 것은 사뮤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Waiting for Godot)(1953)가 파리의 소극장에서 공연되어 성공한 이후부터였다. 이 작품으로 연극사에 커다란 획을 그은 그는 이 작품에서 낯선 배경, 기이한 인물, 연결 잃은 대사를 관객에게 처음으로 보여주었다. 관객은 이 작품에서 인물간의 대화에서 그 속에 담긴 진의를 파악하기 어렵고 행동에서도 논리적인 부분을 찾기 힘들며, 등장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적인 갈등도 찾아볼 수 없다. 아무 사건도 일어나지 않는 이 극작품에서 관객은 끝내 고도가 누구인지 막이 내릴 때까지 알지 못한다. 기존의 연극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이야기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이들의 주목을 끌 수 있었다. 이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기다림과 희망은 반어적으로 그 희망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뜻한다. 아무 것에 대해서도 확신할 수 없다는 암시가 나타나고 상징주의극에서처럼 행동 뒤에 숨어 있는 본질적인 신비 혹은 감추어진 층위(hidden level)는 계속 설명되지 않는다.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추구, 지리멸렬의 방황 속에서 통일성을 잃은 세계의 혼돈과 삶의 불합리를 전혀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부조리한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모더니즘의 사조가 세계를 지배하고 인간의 갈수록 소외되고 부속화 되어가는 사회는 이러한 모습의 연극 사조를 만들어낸 것이다.
1980년대 리얼리즘문학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사실적인 모습으로 그려내었다면 현재는 다시 부조리극의 특성을 반영한 소통의 어려움을 그려내는 새로운 방식들이 나타나고 있다. 현대의 실험연극과 실험영화들이 이러한 속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우선 부조리극의 정의 및 부조리극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사회적 배경에 대하여 고찰해 본 후 현재 동시대의 예술속에서 그 계보를 찾아본다. 그리고 한국의 대표적인 부조리극작가인 오태석의 『환절기』을 통해서 작품속에 담겨 있는 부조리극의 특성을 알아본다.
참고문헌
V. 각주외 참고문헌
김남석(2005), 오태석 연극의 역사적 사유, 서울:연극과인간
임준서(2004), 부조리극을 중심으로 반연극의 계보와 미학 서울 : 살림출판사
배남옥(1987), 오태석 연극의 공간 연구-초기작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신정(1997), 오태석 극에 나타난 관객 인식 연구-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