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

 1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
 2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2
 3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3
 4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4
 5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5
 6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6
 7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7
 8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8
 9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9
 10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0
 11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1
 12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2
 13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3
 14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4
 15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5
 16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교육계열
  • 2006.12.21
  • 16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의반성과 새로운방법론모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수법의 역사적 흐름
2.1 문법번역식 교수법(Grammar-Translation Method)
2.2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
2.3 청각구두식 접근방법(Audiolingul Approach)
2.4 인지주의적 접근방법(Cognitive Approach)
2.5 의사소통적 접근방법(Communicative Approach)
3. 교수요목(Syllabus) 유형
3.1 문법 중심의 교수요목(Grammatical Syllabus)
3.2 상황 중심의 교수요목(Situational Syllabus)
3.3 의미-기능 중심 교수요목(Notional-Functional Syllabus)
4.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문제 제기
5. 의사소통능력 개발을 위한 통합교육론
6. 결론
본문내용
본고는 지금까지 외국어 교육에 사용되어 온 교수법과 교수요목(Syllabus) 유형이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적용되어 왔고 어떤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한국어 교육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자리매김하고 앞으로 한국어 교육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바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기관으로 1959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이 세워진 지 30년이 지난 현재, 국내에만 한국어 교육 기관이 10여곳을 넘고 있다. 그러나 교육기관의 수나 학습 인구가 팽창한 것에 비해 교육 방법과 교과서의 수준은 아직 초창기의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되어 많은 논문이 발표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기존의 교과서 분석이나 문법 교육 방법, 순서 등에 치우쳐 아직도 한국어 교육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이 제대로 준비되지 못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은 주로 문법 중심의 교수요목( 에 따라 설계된 내용을 청각구두식으로 교육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별 검토없이 최근까지 사용되다가 근래 들어 학습자중심 (Learner-Centered)의 새로운 교수법과 교수요목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한국어의 현실에 맞으면서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한 교수법과 교수요목 개발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계발에 두고,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요구와 한국어의 현실에 맞는 교수법과 교수요목 설계의 원리를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둔다.
2장과 3장에서는 외국어 교수법사와 교수요목 유형을 개괄하여, 그 발달 과정고 장단점을 살펴보겠다. 4장에서는 학습자들이 원하는 것(Needs)을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할 수 있는 교수법과 교수 요목개발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5장에서는 앞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보다 확대된 의미의 의사소통 능력 계발에 두고, 문법적 정확성과 유창성을 동시에 고려하며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조화시켜 교육하는 통합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공언(1985), “한국어교재 개발의 기술적 문제”, 이중언어학회지 제2호.
김병원(1988), “한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원리”, 이중언어학회지 제4호.
김영기(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이론적 배경, 효과적 교수법과 교재 개발” 제2회 국제 한국어 교육자 대회 발표문.
김정숙(1992),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한곤(1974), “언어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의 새로운 주장” 언어교육 6-2
명노근(1970), “언어이론과 실제 언어교육” 언어교육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