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

 1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
 2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2
 3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3
 4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4
 5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5
 6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6
 7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7
 8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8
 9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9
 10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0
 11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1
 12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2
 13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3
 14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4
 15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5
 16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6
 17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7
 18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8
 19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19
 20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의 이해] 김춘수의 시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김춘수의 생애
ⅰ. 연보 - P.2~4
ⅱ. 인간 김춘수 - P.4~5

Ⅱ. 김춘수의 시의 경향
ⅰ. 전기․전환기․후기 - P.6~8
ⅱ. 의미에서 무의미로.. - P.9~10

Ⅲ. 무의미론
ⅰ. 무의미시론 - P.11
ⅱ. 김춘수의 무의미시 - P.11~13

Ⅳ. 김춘수의 대표작품
ⅰ. 꽃 - P.14~15
ⅱ. 처용단장 중 1의 2 - P.15

Ⅴ. 김춘수 & 김수영 - P.16~22

Ⅵ. 시사적 의의 - P.22

Ⅶ. 참고문헌 - P.23

별책부록 : 능금 감상 - P.24~25
본문내용
Ⅱ. 김춘수의 시의 경향

ⅰ. 전기․전환기․후기
시와 시론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과 자기 변모의 모색을 펼친 김춘수..
그는 초기시부터 후기시에 이르기까지 일관하는 세계관은 존재성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라 고 할 수 있다. 시에서 이 비극성 극복의 구현을 표현했으며 그렇기에 시는 그에게 구원과 자유와 해방을 위한 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의 구원을 향한 시작이 시의 존재방식과 시 쓰기 방식에 대한 성찰로 이어져 언어와 존재의 관계성에 대한 그만의 특별한 인식태도 로 귀결된다. 시 창작에 있어 의미나 관념 또는 관념적 이미지 등에 대해 회의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시어의 의미 제거를 실험하여 시에서 언어의 의미를 무화하기에 이른다.

1) 전기
- 순수 서정과 서구 지향
김춘수의 전기 시는 릴케의 동경과 서정주와 유치환의 영향이 나타나 조어와 문체, 어조, 모티브 등에 있어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때에는 오히려 기존의 시적 문맥에 의존하 는 시를 썼으며 전통적 언어관에 의한 순수서정을 바탕으로 비애의 정서를 짙게 노래한 작 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첫 시집 구름과 장미에서 구름으로 상징되는 전통적인 것에 대한 탐구는 「귀촉도 노래」, 「밝안제」 등으로 장미로 상징되는 이국취미는 「예배당」, 「창에 기대어」, 「막달라 마리아」 등으로 나타난다. 이후 두 번째 시집을 거치면서 구름 은 서정주와 유치환의 시적 영향으로 구체화되고, 장미는 릴케에로의 지향성으로 나타나는 데, 점차 김춘수는 장미의 상징성을 통해 존재의 본질을 탐구해 들어간다.
- 좌절과 합일 지향
그는 좌절, 절망, 어둠의 세계에 구현된 시를 통해 슬픔, 우울에 의해 자아의 깊은 비극적 태도를 발현시킨다. 좌절과 매개된 현실 공간을 비극적으로 채색하며 초월과 매개된 자연 과의 대립관계를 세운다. 세계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 개인적 억압으로 작용하여 대상과 자 아사이의 거리감이 성립하지 않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런 비극적 자아의 내면세계를 매 개하는 것이 자연물인데 여기서 자연은 야생이나 생명력으로 대변되는 세계가 아닌 시인 에 의해 부여된 질서를 지닌 이데아이며 자아의 세계가 반영된 비극의 전경이다. ■숲에서 ■에서 산과 숲은 영원한 생명과 무한에 대한 동경으로 가득한 시인의 이상과 관념이 빚어 낸 유토피아를 상징한다. 그렇기에 현실적 시간과 공간이 아닌 근원적 시간이며 그곳을 지 향하는 자아의 의식을 보여준다. 산이며 숲인 이데아를 통해 현대의 시간 속에 분열되었던 자신이 이상적 자아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머루와 다래를 먹고 견디듯 살았지만’ ‘푸른 바 닷내가 있었고 대지를 내려다보는 하늘과 어우러져 살았던 지난 세월’에 대한 회상에 의해 슬픔을 표현한다. 회상의 자세는 과거 동사로 그곳을 향하는 그리움의 형태는 미래를 위 한 권유형의 동사로 제시된다.■구름과 장미■에서 ‘구름’은 잡을 수 없는 공간에서 잡히지 않는 실체로 흘러가는 속성을 지니고 ‘장미’는 일상적이지 않으면서 일회적 선물의 의미가 있어 나에게 올 수도 안 올 수도 있는 불안정한 속성을 가진다. 임은 언제나 그리움의 대 상으로 존재할 뿐 붙잡을 수 없는 부재의 존재성을 상징한다. ■풍경■에서는 초월적 투쟁 의식에 이르지 못한 시적 자아의 한계적 투쟁, 즉 비극적 자아의 슬픔이 반영되어 한 밤에 들판을 불고 있는 바람소리가 울음소리로 울음 중에서 짐승의 울음소리와 같은 무상성 깊 은 자아의 내면세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시들을 통해 무한에 대한 동경과 존재의 유 한성에 대한 자각에 기반 하여, 현재적 자아를 이상적 자아 속으로 해소시킴으로써 자아를 절대적 자연으로 표상되는 대상과 통합하려 노력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1. 김춘수, 『김춘수 전집 3』, 문장사, 1982
2. 신규호, 『한국현대시연구』, 이화문화사, 1999
3. 오세영, 『한국현대시인론』, 새미, 2003
4. 편집부, 『한국현대시인연구(하)』, 푸른사상, 2001
→ 김택중 , 김춘수 시의 절대 순수, 무의미
5. 진순애, 『한국현대시와 정체성』, 국학자료원, 2001
6. 최라영, 『김춘수 무의미시 연구』, 새미, 2004
7. 김춘수, 『왜 나는 시인인가』, 현대문학, 2005
8. 김병택, 『한국현대시인의 현실인식』, 새미, 2003
9. 신용협, 『한국대표시 대표작품 연구』, 국학자료원, 1998
10. 김광한, 『김춘수의 시세계』, 문창사, 1992
11. 양승준, 『한국현대시 400선』, 태학사, 1996
12. 김종태, 『김춘수 ■■처용연작■■의 시의식 연구』, 고려대 강사, 2003
13. 김춘수, 『김춘수 시론 전집 1,2』, 현대문학, 2004
14. 현상길, 『한국현대시 108』, 도서출판 풀잎, 2005
하고 싶은 말
김춘수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았습니다..
성심성의껏 준비한 자료이니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좋은 결과 있을시길 기원합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