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

 1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
 2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2
 3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3
 4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4
 5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5
 6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6
 7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7
 8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8
 9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9
 10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0
 11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1
 12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2
 13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3
 14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4
 15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5
 16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6
 17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7
 18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8
 19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19
 20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불평등과 사회불평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본론1. 지역 불평등의 실태

본론2. 지역불평등의 원인

본론3. 지역 균형을 위한 정권의 노력

본론4. 노무현 정권의 지역균형개발정책

본론5. 지방 살리기의 모습들(해결방안)

Ⅲ.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얼마 전, 지역 불평등에 대해 조사하는 와중에 인터넷에서 이색적인 세계지도를 본 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세계 지도라 하면 통상적으로 각국의 실제 크기를 충실히 표현하는 것이 목적으로 그려지는 것인데 이 지도는 국내총생산(GDP), 유아사망률, HIV(에이즈바이러스)감염자, 의료비 규모,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통계 수치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그려진 지도였다.
국내총생산을 기준으로 한 통계지도에는 한국 일본 유럽 미국은 상당히 크게 표시되어 있었지만, GDP가 낮은 아프리카 지역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유아 사망률과 HIV감염자 숫자를 나타낸 지도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아프리카는 굉장히 컸다.
그리고 의료비 지출 수준을 보여주는 통계지도에서는 아프리카 대륙은 거의 사라진 것처럼 보였으며, 온실가스 배출을 기준으로 한 지도에서도 한국 일본 유럽 미국 등이 비대하고 아프리카는 찾기 어려웠다. 부자 나라 사람들이 더 많이 쓰고 더 많이 먹고 환경을 오염 시키는 것이었다. 이런 통계지도를 보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세상 사람들의 불평등한 삶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에이즈 감염자로 득실거리는 지역에 태어나지 않은 걸 감사해할 지도 모를 일이다.
마찬가지로 한국을 이러한 지도로 나타낸다면 어떤 모습일까? 인구와 산업, 교육, 의료, 문화시설 등 다양한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지도를 그린다면 아마도 토끼모양의 지도는 분명 아닐 것이다. 서울만 비대하게 표현되고 나머지 지역은 서울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작게 그려져 있는 이상한 모양일 것이다.
그런데 꼭 이렇게 눈으로 볼 수 있는 지도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지역불균형이 존재해왔고 아주 오래전부터 한국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어왔다는 것쯤은 알고 있다. 그리고 서울이 아닌 지방에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두 번쯤은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혹은 지방대학 학생이라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아 본적도 있을 것이다. ‘서울에 못살고 지방에 살아서 이렇다’ 는 부정적인 말은 자주 들려도 ‘지방에 사니까 좋더라’ 는 긍정적인 말은 나오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1. 『지역균형발전 목표설정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2003 건설교통부

2.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2002년도 s/w산업 연차보고서』

3. 성한용 지음, 『DJ는 왜 지역갈등 해소에 실패했는가』, 도서출판 중심, 2001

4. 박호성․양기호․이동선 공저, 『한국정치와 지방자치』, 인간사랑 출판사, 2002

5. 지방자치실무연구소, 『한국의 지방자치』, 의암 출판, 1995

6. 방하남 외 다수, 『현대한국사회의 불평등』, 한울 아카데미, 2004

7. 경상대학교사회과학연구원 엮음,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지역격차』, 한울 아카데 미, 2002

8. 동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특별연구원, 『지역축제를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부산국 제영화제를 중심으로』,2002


참고 사이트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http://www.balance.go.kr/

2. 통계청 www.nso.g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