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

 1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
 2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2
 3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3
 4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4
 5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5
 6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6
 7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7
 8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8
 9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9
 10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0
 11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1
 12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2
 13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3
 14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4
 15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5
 16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6
 17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7
 18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8
 19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19
 20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실주의문학]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사실주의의 특징
Ⅲ.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Ⅳ. 사실주의의 시대적 조건
1. 사회의 상태
2. 사상적 배경
Ⅴ. 사실주의 문학 이론
Ⅵ. 시적 사실주의의 변용
1. 변용개념과 미학적 의의
2. 사실주의 전반에서 본 시적 사실주의의 의미
Ⅶ. 리얼리즘시의 창작방법
1. 진실성의 구현
2. 시적 주체의 형상화와 주체세우기
3. 산문적 확장과 시적 응축
4. 전형성의 추구
Ⅷ. 시대별 한국문학에 있어서의 리얼리즘
1. 4.19가 우리문학에서 가지는 의미
2. 1930년대 문학에 대한, 리얼리즘의 논란
3. 4.19 이후 문학의 창작이 제대로 되지 못한 것에 관하여
4. 60년대의 리얼리즘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계관은 ꡐ세계관조ꡑ와 ꡐ이론적 판단ꡑ으로 이루어진다. 즉 현을 있는 그대로 내적 합법칙성에 따라 수용하는 측면과 자신의 ꡐ이론적 판단ꡑ에 따라 ꡐ판단하는ꡑ측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한 개인의 세계관이다. 그리고 현실에 대한 이론적 판단은 항상 주체가 속해 있는 계급적 입장에 의해 결정된다.
모든 탁월한 리얼리즘 작가는 객관적 현실의 합법칙성에 도달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 속에 보다 깊숙이 놓여 있고 감추어져 있어서 직접적으로는 지각할 수 없는 매개된 사회현실의 연관성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신의 체험 소재를 -추상화라는 수단도 사용하여- 가공한다. 이 연관성은 표면에는 직접 드러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이 합법칙성은 뒤얽혀 있고 균일하지 않으며 단지 경향을 나타내는 방식으로만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리얼리즘 작가에게는 예술적으로나 세계관적으로 이중적인 거대한 작업을 할 필요가 생긴다. 그것은 첫째 이 연관성을 개념적으로 발견하여 예술로 형상화시키는 일이고, 둘째는 이 작업과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서 추상화되어 얻어진 연관성을 예술적으로 감싸는 일 즉 추상화를 지양하는 일이다. 이런 이중적 작업을 통해 추상적으로 매개된 새로운 직접성 즉 생의 형상화된 표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형상화된 표면은 (생 자체의 직접성의 경우와는 달리) 모든 계기들 속에서 본직을 명확히 투시하도록 하지만 그러면서도 직접성으로서 즉 생의 표면으로서 나타난다.
위대한 작품이 되자면 등장인물을 그들의 사회적 생존 및 그것에서 발생하는 커다란 문제들과의 다각적인 관련 속에서 그리고 인물들 간의 다면적인 상호관련 속에서 묘사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이러한 관계가 더 깊이 있게 파악되고 그 상호관련이 더 다양하게 전개될수록 작품은 더욱 위대하게 된다. 퇴폐적, 부르조아적 편견 혹은 속류 사회학적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기의 세계관을 표현할 줄 아는 작중인물의 능력이 현실의 예술적 재현에 있어 하나의 필요하고도 중요한 요소를 이룬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세계관은 의식의 최고형태이다. 현대의 부르조아적 사고는 객관적 현실을 직접적인 지각의 복합체로 분해한다. 이리하여 그것은 인간의 자아를 그러한 지각들의 단순한 집합으로 만듦으로써 개인의 성격을 해체시키는 것이다.

Ⅱ. 사실주의의 특징

사실주의의 기본적인 특성을 들면, 과학적, 객관성, 개인과 사회와의 새로운 관계 형성, 실증주의 철학의 영향, 현실의 추악상, 견자의 사상, 일어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ꡐ과학적 객관성ꡑ이라는 특성을 살펴보자. 사실주의는 현실에 대한 과학적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은 객관성과 정확성을 요구하므로, 거기에 환상이나 주관이 거부된다. 작가는 자기의 작품 속에 개인적 주관, 감정, 공상을 배제하고, 오직 자연 과학자와 같은 냉엄한 태도로 현실을 관찰하고 재현해야 하는 것이다.
둘째, 개인과 사회와의 새로운 관계의 정립을 들 수 있다. 개인과 사회와의 새로운 관계의 정립은 먼저 자아의 새로운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자아의 무한한 가능성은 과학과 산업 사회의 무한한 가능성으로 전환한다. 인간의 본질은 공동생활을 위한 존재, 경제적. 문화적 집단의 일원이라는 사상으로 바뀌에 된다. 부르조아 자본주의 사회는 개인과 사회의 새로운 관계, 곧 산업 사회적 관계의 형성을 요구하는 것이다.
셋째, 실증주의 정신을 들 수 있다. 19세기에 있어서의 인생과 자연에 대한 인식은, 퀴비에와 뷔퐁의 생물학, 그리고 자연 과학으로서 철학의 기초와 사회 개량의 수단으로 삼으려는 생 시몽의 정신을 계승한 콩트의 실증철학의 정신에 의거한다. 그들이 보는 인간, 곧 인간과은 일반 동물과 같은 하나의 생물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사회환경이 결정한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그들의 ꡐ정열ꡑ은 고귀한 품성이나 천재의 특별한 재질이 아니라 다만 유기체에 속하는 병자의 경향을 보이게 된다.
참고문헌
구중서, 자연과 리얼리즘, 녹색평론, 1992,9-10.
구중서, 문학과 현대사상, 도서출판 문학동네, 1996.
엄창렬, 문예사조사, 학문사, 1987.
김유동, 시적 사실주의 이론 연구, 경상대학교 논문집, 제 24집 2호
이경숙, 리얼리즘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소고, 한성대 한성어문학 제 2집.
백낙청, 리얼리즘에 관하여, 한국문학의 현단계, 창작과비평사, 1982.
신범순, 해방기 시의 리얼리즘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0.
황병하, 반리얼리즘문학론, 열음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