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1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
 2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2
 3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3
 4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4
 5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5
 6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6
 7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7
 8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8
 9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9
 10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0
 11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1
 12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2
 13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3
 14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4
 15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5
 16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6
 17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7
 18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8
 19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19
 20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논문]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영국과 미국 패션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1. 영국 패션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2. 미국 패션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Ⅲ. 각 디자이너와 국가 정체성

1. 영국 디자이너
1) 비비안 웨스트우드 (Vivienne Westwood)
2) 폴 스미스 (Paul Smith)
3) 알렉산더 맥퀸 (Alexander McQueen)

2. 미국 디자이너
1) 캘빈 클라인 (Calvin Klein)
2) 랄프 로렌 (Ralph Lauren)
3) 도나 카란 (Donna Karan)

Ⅳ. 최근 2년간의 컬렉션 사례 연구

1. 영국 디자이너 컬렉션
2. 미국 디자이너 컬렉션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패션 디자이너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국가적 정체성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Ⅰ. 서 론

모든 창작과 생산은 그것이 속한 사회, 문화적 특성을 담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 특성 중에서 특히 국가적 정체성은 패션 디자이너의 창작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친다.
현대에는 세계화 시대라고 불릴 만큼 국가의 개념이 모호해지고 있고 패션에서도 다원적인 문화 요소들이 차용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이러한 요소들을 국가 전통을 바탕으로 해석해서 자국적인 것으로 소화하는 디자이너들이 있다. 그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국가적인 전통을 반복적으로 그리고 여러 가지 태도와 방식으로 표현하여 국가 고유의 정체성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영국과 미국은 과거의 시대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단순한 과거의 유산이 아닌, 전 세계인이 공유하는 문화와 예술로 진화시켰다. 이러한 혁신을 통하여 국가의 문화가 더욱 풍부해지는 동시에 세계 시장에서는 매력적인 주요 문화 자본의 역할을 하고 있다. ‘탈탄체크(tartan check), 트렌치코트(trench coat), 스트리트 패션(street fashion), 펑크(punk)’ 등을 떠올렸을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영국과 연결시킨다. 한편, ‘프로페셔널한 수트(suit) 차림의 커리어 우먼(career woman), 스포츠웨어(sportswear), 청바지(blue jeans)’ 하면 뉴욕 맨하튼(Manhattan)이 생각난다. 이와 같이 영국과 미국의 문화는 자국의 고유한 정체성을 가지면서도 전 세계인에 의해 대중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대중적으로 수용된다는 공통점을 가진 두 나라의 문화는 그 내용면에서는 확연하게 구분되는데 특히 패션에서 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난다. 영국 패션의 경우에는, 전통 귀족문화와 스트리트 하위문화가 공존하는 특징을 보이고 미국 패션의 경우에는, 세계대전 이후의 급격한 경제적인 부흥을 바탕으로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특징을 보인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권자영(2000), 〈현대 영국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김민자(1986), 〈1960년대 Pop Art 사조와 패션〉, 《한국의류학회지 vol.10 no.1》
박명진 외 편역(1996), 《문화, 일상, 대중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서울 : 도서출판 한나래
삼성디자인넷(2003), 〈신사복 시장 이원화 현상〉,
www.samsungdesign.net/include/report
삼성디자인넷, 〈패션인물정보〉,
www.samsungdesignnet/databank/encyclopedias/whoinfo
송수원, 김민자(2006),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작품 세계에 나타난 영국적 이미지〉, 《한국복식학회지 Vol.56, No.2》
송은영(2003), 〈현대 영국 남성복의 조형성 연구: Paul Smith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1996), 《복식 문화》, 서울 : 교문사
Andrew Tucker(1998), The London Fashion Book, R
Anspach, Karlyne(1969), The Way of Fashion, Ames : Iowa State University
Diamonstein, Barbaralee(1985), Fashion : The inside story, N.Y. : Riddoli Inc.
Garland, Madge(1970), The Changing form of Fashion, New York : Praeger Inc.
Greenwood, Kathryn Moore/Murphy, Mary Fox(1978), Fashion Innovation and Marketing, New York : Mac Milan Publishing Co., Inc.
Gurel, Lois M./Horn, Marilyn J.(1981), The Second Skin, Boston : Houghton Nifflin Co.
Helena de Paola, Mueller, Carol St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