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

 1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
 2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2
 3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3
 4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4
 5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5
 6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6
 7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7
 8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8
 9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9
 10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0
 11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1
 12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2
 13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3
 14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4
 15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5
 16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6
 17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7
 18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작하면서

Ⅱ. 김시습의 생애와《금오신화(金鰲新話)》의 장르적 위치 소개
1. 김시습 [金時習, 1435~1493]의 생애
2.《금오신화》의 장르적 위치

Ⅲ.《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작품적 특징에 대한 이해
1. 이생의 소극성에 대한 이해와 ‘규장(窺墻)’의 의미 해석
2. 이생규장전에 얽힌 귀신론에 대한 이해와 수용

Ⅳ.《이생규장전》과 현대의 드라마, 영화 비교
1. 문학에서의 환상의 기능과 이생규장전, 현대의 드라마의 환상 이해
2. 영화《해리포터》와 《이생규장전》의 환상의 세계 비교 이해
3. 《이생규장전》과 영화《사랑과 영혼》의 비교 이해

Ⅴ. 마무리하며

- 참고문헌 -
본문내용
Ⅰ. 시작하면서

사실 우리는 한국의 고전문학을 대함에 있어 일종의 통념과 더불어 고전적인 배움의 자세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춘향전이나 심청전, 홍길동전과 같은 작품을 감상할 때 우리는 그 작품들이 지금에도 어필할 수 있는 선조님들의 재미난 감수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고 나름대로 흥미롭게 여긴다. 그러나 그 작품들은 과거 조선시대의 문화유산일 뿐이지 그것이 정말로 오늘날의 문화-예술작품들과 대등하게 견주어 이해할만한 문학적 감수성을 지니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고전 작품들에는 고전적인 독해법이 따로 존재한다. 그리고 우리는 고전작품들로부터 과거 시절의 문화적 유산을 정리하는 차원의 배움을 얻는 방법에 익숙하다. 다시 예를 들어 중고등학교 시절이나 대학교에서의 단원, 교과목 편성표들을 생각해보자. 우리는 분명 고전문학을 대할 때에 매순간 그것을 과거의 전통으로서, 문화 유산의 맥락에서 배우고 있다. 그리고 수업들에서 고전작품의 배경 사상, 사회사적 상황, 훌륭한 교훈과 같은 항목들을 계속 정리하는 자세에 익숙하다. 그런 과정이 과거 시절의 공부를 풍부히 한다는 측면에서는 유익할 수 있으나, 문제는 고전문학작품을 현대적으로 감상하는 측면은 늘 결여된 채로 작품이해를 다 한 것처럼 여기기 쉽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고전문학을 현대와 먼 거리가 있는 굳은 과거의 유산들로 대하게 된다.
참고문헌
최일범, 「매월당 김시습의 생애와 철학사상」, 사상 1996년 가을호, 237~261쪽(총25쪽), [사회과학] 사회과학원, 1996.

장효현, 「傳奇小說 연구의 성과와 과제 -장르 개념과 장르史의 문제-」,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민족문화연구 제28호.

최기숙, 「귀신의 처소, 소멸의 존재론 -『금오신화』의 ‘환상성’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돈암어문학 제16집, 2003.

이대형, 『금오신화 연구』, 보고사, 2003.

김시습 지음/심경호 옮김, 『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 中 』, 홍익출판사, 2000

박일용,「의 밀회 장면에 나타난 환상성과 그 현실적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제 20권, 2005.

박성규, 「주자의 윤회설 비판과 귀신론」,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인문논총 제49집, 2003.

권우행, 「시애설화 소고」,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제7권, 1983.

윤채근,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 월인출판사, 1999.

최기숙, 『환상』.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최기숙, 「[텍스트비평]새 세대의 문화 기호, 『해리 포터』읽는 '아이들'(조앤 K.롤링, 『해리 포터』시리즈(문학수첩)외)」, 당대비평 통권 제16호, 2001. 9.


- 인터넷자료 -

http://100.naver.com/ NAVER 백과사전 : 김시습 자료 참조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