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

 1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
 2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2
 3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3
 4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4
 5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5
 6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6
 7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7
 8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8
 9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9
 10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0
 11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1
 12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2
 13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3
 14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4
 15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5
 16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6
 17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7
 18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8
 19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19
 20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매스컴] 아시아 영상 예술의 흐름 -한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문화적 측면에서의 한류

1-1 문제 제기.
1-2 한류의 개념과 형성 배경
1-3 문화커뮤니케이션과 대중문화

2. 사례분석1 (일본 문화의 수용, X-japan)
2-1일본 대중문화 수용 현상
2-2 X Japan 은 누구인가?
2-3한국에서의 팬 형성
2-4표절
2-5 혼용화
2-6 혼용화 이후
3.한류의 흐름과 현황
3-1 한류 초기의 중국
3-2 한류의 중화권 진출의 교두보 홍콩, 대만
3-3 동남아 국가들에 한류의 불씨를 지핀 베트남
3-4 큰 시장에서 작은 시장으로의 통설을 깨버린 일본의 한류
3-6성공하지 못한 한류
3-7 한류 전체의 경제 효과
4.사례분석2(한류-대장금의 중국 진출 )
4-1 한류을 정상에 올려놓은 대장금
4-2 대장금 펜층의 형성
4-3 문화수출로서의 대장금
4-4 대장금의 영향으로 인한 한국 관광의 다각화
4-5 대장금이 안겨준 경제 효과
5. 사례분석3 -반한류 (혐한류, 항한류)현상
5-1 반한류 현상의 배경과 원인- 문화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논의
5-2 만화 ‘혐한류’ 5-3 중국, 대만의 반한류적 제도 장치
5-3 중국, 대만의 반한류적 제도 장치
5-4한류와 문화 식민주의
5-5 맺음
6.결 론
본문내용
1.문화적 측면에서의 한류

1-1 문제 제기.
최근 3-4년간 한국의 주요 언론들이 내세운 가장 큰 이슈들 가운데 하나는 바로 한류다. 한류열풍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 간의 대중문화의 흐름과 신세대 소비자, 그리고 문화산업시장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에서 불기 시작한 한류현상은 동남아, 베트남으로 확산되었고,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막강한 대중문화의 전파력을 가진 일본으로까지 확산되었다. 초창기 한류열풍의 주역이었던 중국이나 대만의 열기가 다소 주춤해진 반면, 최근 들어서는 일본의 한류 현상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그간 일본의 대중문화는 공식적인 경로를 통하지 않고서도 한국사회에 깊숙이 스며들어 한국 대중문화의 전형이라고 할 만큼 각광받아 왔으나, 이와는 달리 한국의 대중문화는 일본 대중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말하기도 어려울 만큼 알려지지 않았는데, 2002년 한일 월드컵 공동개최를 시작으로 최근의 한류현상이 나타나 양국간의 새로운 문화 교류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한류가 과연 일반적인 유행의 속성처럼, 일시에 막강한 영향을 끼치다가 거품이 걷히고 나면 바람같이 사라지게 될 것인가 아닌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많은 언론매체들이 한류를 보도하고 학자들이 세미나를 통해 한류의 지속방안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지만 “학문을 하는 자리, 현장에서 문화생산을 하는 자리, 문화상품을 파는 시장 개척자의 자리, 비평이나 기사를 쓰는 글쟁이의 자리는 상당히 엇나가 있어서 갈수록 정보 공유가 힘들어지고 있다."
처음으로 한류란 말을 담게 한 중국의 경우에도 한류 현상의 존재를 인정하기는 하지만, 이와 관련된 학술적 연구 논문을 발표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국보다 늦게 한류열풍이 불기 시작한 일본의 경우는 더더욱 그렇다. 국제적인 친선과 교류를 통한 상호이해에 바탕을 둔 국제인으로서, 세계화 시대에 어떻게 하면 한류가 일회성 바람으로 끝나지 않고 한일 양국의 대중문화교류가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교류로 이어갈 수 있는가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일방적이지 않은 쌍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1. 박기성(1983), 『문화커뮤니케이션과 대중문화』, 평민사
2. 박재복(2005), 『한류 글로벌 시대의 문화경쟁력』, 삼성경제연구소
3. 이연(1998), 『일본 대중문화 베끼기』, 나무와숲
4. 조한혜정(2001) 『아시아 문화 연구와 문화산업: 아시아 문화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5. 홍기선(1991), 『커뮤니케이션론』, 나남

논문자료
권세기, 한류(韓流) 무엇인가?, 國會圖書館報. 제42권 제7호 통권 제315호, 2005.
고정민 외, 韓流 지속화를 위한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5.
박기옥 외, 한류 현장을 가다(상) - 홍콩,베트남,중국, 신문과방송, 2005/11.
백원담, 한류의 지속가능성, 國會圖書館報. 제42권 제7호 통권 제315호, 2005.
유영미, 한·일 양국 대중문화 수용에 관한 연구 :일본대중문화개방과 한류현상을 중심으로, 서울, 중앙대 교육대학원, 2005.




반한류 관련 뉴스
http://news.inews24.com/php/showprint.php?g_serial=161455&g_menu=090339&pay_news=0&access=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200&Total_ID=1706156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333159§ion_id=106&menu_id=106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311269§
반한류 관련 동영상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86&office_id=056&article_id=0000048250&menu_id=115
http://news.na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