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

 1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
 2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2
 3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3
 4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4
 5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5
 6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6
 7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7
 8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8
 9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9
 10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0
 11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1
 12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2
 13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3
 14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4
 15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5
 16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6
 17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7
 18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8
 19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19
 20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한국의 교육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열의 의미
2. 교육열의 역사적 형성 및 전개과정
3. 교육열의 형성원인
4. 교육열에 따른 실태
5. 교육열의 개선 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어느 나라에도 우리나라처럼 교육열이 높은 나라는 없다. 세계 최고라고 말하던 일본을 무너뜨린 지 이미 오래다. 하늘 높은지 모르고 올라가는 교육열의 끝은 어디까지일까, 그리고 그렇게 부모들의 교육열을 높인 요인이 무엇일까.

얼마 전에 신문에서 한국교육개발원이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본 적이 있다. 그 설문조사에서는 학부모의 대다수가 도덕성이나 인간성 교육이 공부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자녀가 공부를 하기 싫어해도 어느 정도 강압적으로 공부를 사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고 90%가 넘는 학부모들이 자녀를 대학 또는 대학원까지 보낼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고 나와 있었다. 심지어 자녀가 대학을 가지 않겠다고 할 경우에도 설득하거나 억지로 보내겠다는 의견도 대다수였다. 그리고 심지어 자녀가 학원 같은 곳에서 공부를 하고 있을 때 오히려 마음이 편하다고 답했다. 이 설문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열의는 아주 대단하다.

어떤 나라에서는 대학을 졸업할 때 까지 정부에서 모든 재정을 부담하는 제도를 갖추고 있어도 대학을 가겠다는 사람이 별로 없는 반면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작 자신은 못 먹고 못 입고 허리띠를 졸라 매면서까지 자녀를 대학에 보낸다. 그 나라 사람들이 봤을 때에는 아마 이해하지 못할 행동일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열을 바라보는 외국인들의 시각도 다양하다. 신문기사를 통해 외국의 시각을 알아보겠다.
- 영 국 -
영국에서 발간되는 경제일간신문 는 12일 ‘한국의 지식계층, 육체노동 직면’(South Korea's educated class faces manual labor) 기사를 실어 한국의 높은 교육열이 세계에서 가장 교육수준이 높은 인력을 길러내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 급성장의 추진력이 되었다는 게 아이러니라고 평가했다. 한국은 어느 OECD 나라보다 높은 GDP의 7%를 교육에 쓰고 있으며 사람들이 여전히 교육배경에 의해 평가되는, 지위에 민감한 이 나라에서 좋은 대학에 합격하는 것을 ‘성공티켓’으로 간주한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참고문헌



※저서
·송병순(2002),「한국교육의 현실과 이상」, 문음사.
·이종각(2003),「교육열 올바로 보기」, 원미사.
·강양원,「한국인의 교육열」, 연세 교육연구.
·김신일외,「한국교육의 현단계」, 교육과학사.
·오욱환(2000),「한국사회의 교육열: 기원과 심화」, 교육과학사.
·조무남 외(1996),「교육사 교육철학 강의」, 동문사.
·고벽진 외(2005),「교육사 및 교육철학」, 교육과학사.
·김동춘(2000),「근대의 그늘」, 당대총서12.
·김대환(1989),「한국사회 어디로」, 매일경제신문사.
·이종각(2005),「새로운 교육사회학 총론」, 동문사.

※논문
·오만석 외(200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혜정(2002), Vol.23 No.1 , 49-75 (27쪽).
·이종각(2000), 교육마당21.
·정순우(1999), , 교육사회학 연구 제 9권 제1호.

※기타자료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이 ‘청년실업’ 유발” FT 보도, 한겨레 인터넷 신문
·다음카페 :미국이민과 유학생활길잡이, 이종하의 교육, 문화, 철학이야기
·노동부 (http://www.molab.go.kr/)
·통계청 (http://www.nso.go.kr/)
·http://www.hani.co.kr/
·http://www.ohmynews.com/
·http://www.imaeil.com/
·http://www.kangwon.ac.kr/
·http://news.media.daum.net/
·http://blog.naver.com/esuccess/40020369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