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 칼빈과 칼빈주의

 1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
 2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2
 3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3
 4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4
 5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5
 6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6
 7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7
 8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8
 9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9
 10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0
 11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1
 12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2
 13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3
 14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4
 15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5
 16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6
 17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7
 18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8
 19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19
 20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칼빈] 칼빈과 칼빈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칼빈주의의 정의와 특징
1. 칼빈주의의 정의
2. 칼빈주의의 특징 (5대교리)
Ⅲ. 칼빈의 신학 사상
1. 보편섭리와 특별섭리
2. 예정론
3. 교회론
Ⅳ. 칼빈주의와 교회형태
Ⅴ. 칼빈주의와 세속정치
Ⅵ. 기독교강요에 대하여
1. 집필동기와 목적
2. 개정판들의 구성과 특징
1) 초판 (1536년 3월, 바젤)
2) 제 2판 (1539년 말, 스트라스부르그)
3) 제 3판 (1543년, 제네바)
4) 제 4판 (1550년, 제네바)
5) 최종판 (1559년, 제네바)
3. 기독교강요의 원천
Ⅶ.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이중예정론의 내용
1. 칼빈 자신의 해설판에 나타난 예정 개념
2. 최종판에 나타난 이중예정론의 내용
1) 제 21장 (영원한 선택: 영생과 영벌의 예정, 7절)
2) 제 22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예정 교리의 확인, 11절)
3) 제 23장 (예정 교리의 비난에 대한 반박, 14절)
4) 제 24장 (선택은 하나님의 소명으로 확인되나, 악인은 예정된 공정한 멸망을 자초한다, 17절)
Ⅷ. 칼빈주의 5대 교리를 통해 본 이중예정론의 체계적 이해
1. 칼빈주의 5대교리의 유래
1) 알미니우스의 등장과 알미니안 5대 교리
2) 돌트 총회와 칼빈주의 5대 교리
2. 이중예정론의 체계화된 모습으로서의 칼빈주의 5대 교리의 내용
1) 인간의 전적 무능력 (Total Inablity, 또는 전적 부패)
2) 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al Election)
3) 제한적 속죄(Limited Atonement)
4) 불가항력적 은총(Irresistible Grace, 또는 유효한 부르심)
5) 성도의 견인(Perseverance df the Saints)
Ⅸ. 결론
본문내용
칼빈주의는 근대세계를 특징지워 주는 여러 요소들, 예를 들자면 자본주의,근대과학,복잡한 서구 사회의 규율과 합리화 혁멍적 정신과 민주주의, 세속화와 사회적 행동주의,개인주의, 공리주의, 그리고 경험주의에 기여 했다고 널리 인정되어져 왔거나 혹은 그렇다고 비난받아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자타가 인정을 받을 만한 그의 업적과 공헌은 거의 최근까지도 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가 거의 근래에 들어와서 다시 거론되기 시작했다. 한국교회나 세계의 많은 이들의 막연히 진정 아닌 존경을 받고있으면서도 진정한 그의 사상과 업적에 대해 가치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W.J.부스마는 몇가지 이유를 들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칼빈은 신학자들과 칼빈전문가들의 손에 내맡겨 놓았는데, 역사적 칼빈에 대한 이들의 관심이란 기껏해야 주변적인 것이다.또 하나는 칼빈의 추종자들에 의해 세워지고 제네바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장 알려진 대학 뒷편의 개혁지들의 벽에 서 있는 거대한 칼빈의 조상에 암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Ⅱ. 칼빈주의의 정의와 특징

1. 칼빈주의의 정의

칼빈주의란 루터파와는 구별되는 개혁파라고 하는 프로테스탄트 교회파의 신앙고백들과 교리문답들에 본질적으로 나타나 있는 신학적 신념의 체계를 가리킨다. 또한 칼빈주의라는 말은 칼빈이 개략적으로 제시한 교회정치 체제(장로제)를 내포하는 말일 수도 있으며, 그리고 매우 일반적으로 이체제를 채택한 교회들 안에 있는 칼빈적인 교리 유형을 가리키느 말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교리와 정치의 이연결은 결코 보편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치가 교리적 원칙들에서 자연적으로 파생한 것이 분명한 경우에 한해서만 정치를 고려해도 족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칼빈주의는 여려가지 형태의 교회정치 및 제도와 관련되어 왔음이 드러날 것이다. 칼빈의 교리들은 청교도 신학을 형성했으며, 그 교리들은 대체로 회중주의에 흡수되어 근래에까지 회중교회를 지배해 왔다. 칼빈주의의 독특성은 정치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교리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