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

 1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1
 2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2
 3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3
 4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4
 5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5
 6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6
 7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7
 8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8
 9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9
 10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책론] 여성의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 나라도 맞벌이가구가 전체가구의 25.9% 정도가 된다. 맞벌이 부부의 취업직종을 보면 부부 모두가 관리직, 전문직, 준전문직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비율은 13.7%인데 비해서, 서비스 및 판매근로자, 농어업근로자, 생산관련직에 종사하는 비율은 70.3%이었다. 맞벌이 부부의 취업구조에 대해서는 김태홍, 주재선(1998), ‘맞벌이부부의 가구특성과 고용구조’, 「여성연구」, 한국여성개발원을 참조.
즉 맞벌이 부부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임금수준과 지위가 낮은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맞벌이 남편과 부인의 취업직종을 비교해보면 맞벌이 남편 중에서 관리직, 전문직, 준전문직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비율은 23.7%인데 비해서, 부인은 이들 직종에 종사하는 비율이 18.6%로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은 맞벌이 부부의 취업구조로 인해서 맞벌이가구 부부의 임금이 모두 낮은 가구가 많고, 결과적으로 맞벌이부부 모두 가입기간중의 낮은 소득으로 인해서 연금수급액이 낮게 결정(mini-pension)될 가능성이 크다. 뿐만 아니라 맞벌이 남편과 부인을 비교하여 보면 부인이 남편보다 소득이 낮은 직종에 취업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국민연금제도와 같이 배우자 사망에 따른 연금의 병급제한규정은 생존하는 노인의 노후생계 유지를 어렵게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병급제한규정으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는 남편보다 임금수준이 낮은 직종에서 경제활동을 한 비율이 높은 맞벌이 부인에게 보다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국민연금제도개선기획단, 󰡔전국민연금 확대적용에 대비한 국민연금제도 개선󰡕, 1997.
김용하, 「세대간 형평성 제고를 위한 국민연금제도의 구조조정 방안」, 󰡔사회보장연구󰡕,
김재인 외 2인, 󰡔여성정책 평가모형 개발󰡕, 한국여성개발원, 1999.
김태홍, 󰡔여성 고용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방향󰡕, 한국여성개발원, 2000. 󰡔비정규직 고용형태의 확산이 여성고용구조에 미친 영향과 정책과제󰡕, 노동부, 1999. 󰡔여성 재취업구조와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