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

 1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1
 2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2
 3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3
 4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4
 5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5
 6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6
 7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문학] 조선후기 한문사대가의 문학적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 란?
2. 이정구(李廷龜, 1564~1635)
3. 신흠(申欽, 1566~1628)
4. 이식(李植, 1584~1647)
5. 장유(張維, 1587~1638)
6. 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이정구나 신흠은 고문의 본보기를 보여주어 높이 평가되면서, 격식을 더러 어긴다는 말을 들었다. 성리학의 저술에서 볼 수 있는 주소(注疏), 어록(語錄)에 쓰는 문체 같은 것들이 섞여 있다고 했다. 그런 상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절심(切深)하고 아려(雅麗)하고 가지런한 기풍을 제대로 갖춘 문장은 한문사대가의 마지막 두 사람 이식과 장유가 마련했다.
이식과 장유는 외교활동이나 이념 수립의 과업의 과제에는 관여하지 않고 문학 그 자체를 한층 더 존중하며 산문도 시에 못지않은 예술품일 수 있게 했다. 그래서 이룩된 작품은 현실의 문제의식을 되도록 배제하고 고답적인 취향을 구축하는 폐단을 지니면서도, 문학이 도학의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 공적이 있다.
고문을 힘써 이룩해야 한다는 주장은 전에도 몇 차례 있었다. 김부식은 공허한 수식을 일삼는 변려문을 대단하게 여기는 풍조에서 벗어나 질박하면서도 전아한 고문의 문체를 중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갖추어야 한다고 했다. 이제현은 마음을 가다듬는 바른 도리를 갖춘 글이 고문이라고 하면서 문학과 도학을 근접시키고자 했다. 그런데 이식과 장유가 규범을 다시 마련한 고문은 도학의 규제에서 벗어나고 내용은 최소한 줄이면서 표현의 아름다움을 한껏 갖추려 한 글이다. 결국 이들은 모방이나 표절에서 벗어나 내실을 지닌 창조적인 문장을 쓰되, 당대에 적합한 문체를 구사해야 된다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1. 이종술 外 한국의 사상대전집 (동화출판공사, 1985).
2. 민병술 한국한문대표작평설 (태학사, 2000).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4. 조동일 外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