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

 1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
 2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2
 3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3
 4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4
 5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5
 6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6
 7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7
 8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8
 9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9
 10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0
 11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1
 12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2
 13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3
 14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4
 15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5
 16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6
 17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7
 18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다산 정약용 약력
1. 수학시절(출생~1789, 28세)
2. 사환시절(1789~1800, 39세)
3. 유배생활(1801~1818, 57세)
4. 향거(鄕居)생활(1818~1836, 75세)
Ⅱ. 다산 정약용의 경학사상
1. 심성관
1) 기존의 성리학
2) 성
3) 심
4) 자주지권
2. 이기관
1) 우주관
2) 이
3) 기
3. 성경
4. 고증학
Ⅲ. 다산 정약용의 실학사상
Ⅳ.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
1. 효제자
2. 국학
3. 기예론
4. 아학편
Ⅴ. 다산 정약용의 사회신분제도 개혁사상
Ⅵ. 다산 정약용의 신민본주의 사상
1. 사회계약에 의한 국가․ 사회․통치자․법률의 성립
2. 백성의 천자․군주 교체권 승인
3. 아래로부터의 ꡐ순ꡑ과 위로부터의 ꡐ역ꡑ의 전치
4. 백성 대표에 의한 법률의 제정
5. 입헌군주제의 맹아
Ⅶ. 다산 정약용의 정치사상
Ⅷ. 다산 정약용의 경제사상
Ⅸ. 다산 정약용 사상의 현대적 의의
본문내용
Ⅰ. 다산 정약용 약력

다산 정약용은 1762(영조38)년에 태어나 1836(헌종2)년에 세상을 떠났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친 조선조영조정조순조헌종의 기간이 그의 시대이다. 다산의 아명은 귀농(歸農)이며, 약용(若鏞)은 그의 관명이다. 그는 1762년에 현재의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능내리(당시의 광주 초부면 마현려)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載遠)은 진주목사를 지냈으나, 고조이후 삼대가 포의(布衣)로 세상을 떠나서 그의 집안은 당시로서는 권세와 가깝지 못하였다.
다산의 생애는 수학시절인 1789년(28세)까지, 사환시절인 1800년(39세)까지, 유배생활시절인 1818년(57세)까지, 그리고 1836년까지의 향기시절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권영락, 1997).

1. 수학시절(출생~1789, 28세)

다산은 15세 때에 장가를 들었고 이때 마침 부친이 호조좌랑의 벼슬을 하게 되어 서울로 올라가서 생활하게 되었다. 당시 서울에서는 이가환이 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었다. 다산의 매부인 이승훈도 이가환과 함께 열심히 성호 이익의 저서를 연구하였는데, 그들과 접촉하는 가운데서 다산은 성호의 저서들을 읽게 되었고 감수성이 많았던 이 시절의 다산은 그 영향을 많이 받았다(강석화, 1989: 176).
성호 이익은 18세기 전반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였다. 그는 모든 사물현상을 연구함에 있어서 실사구시의 과학적인 태도를 견지하였다. 유교경전을 해석함에 있어서도, 그는 당시 주자학파들의 문구들을 절대화하고 맹종하는 그들의 태도를 반대하였으며 그는 유교 경전에 대하여서도 창조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학문은 천문, 지리, 경제, 군사, 문학 등 광범한 영역에 걸쳐 있었다.
성호도 다른 실학자와 마찬가지로 당시 사회의 모순이 토지문제에 있다고 보았다. 당시 실학파들은 토지제도의 모순을 대토지 소유의 발달로 인한 농민들의 토지 상실과 농민들에 대한 봉건국가와 지주들의 가렴주구에 있다고 보았다(오문환, 2002: 8~9).
젊은 다산은 성호의 제자인 청당 이중환, 순암 안정복의 저서들도 탐독하였으며, 연암 박지원과 담헌 홍대용, 성호의 제자인 초정 박제가 등과도 일정한 접촉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양반의 문벌로 보아서는 성호 계통의 남인들보다는 우월한 지위에 있었으나 당시의 청나라에 대한 태도문제에 있어서와 천주교를 반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보다 적극적이었다. 청나라 문물에서 배울 것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조선과 대비한다면 특히 생산과 기술면에서 그러한 것이 아주 많다는 것과 이를 배우지도 않고 망한지 오래된 명나라만 숭상하는 낡은 주자학자들과 당시의 봉건 통치자들을 반대하였다. 북학론자들은 구라파의 자연기술과 천주교 즉 당시의 말로 한다념 과 를 엄격히 구별하면서 서학은 취하였으나 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