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

 1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
 2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2
 3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3
 4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4
 5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5
 6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6
 7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7
 8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8
 9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9
 10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0
 11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1
 12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2
 13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3
 14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4
 15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5
 16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6
 17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7
 18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8
 19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19
 20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금기어, 완곡어, 전문어, 새말의 특성과 유형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차 례 >
Ⅰ. 머 리 말
Ⅱ. 금기어
1. 금기와 금기어
2. 금기어의 판단기준
3. 금기어 구조
4. 분야별 금기어
5. 금기어 연구의 필요성
6. 생각해 봅시다
Ⅲ. 완곡어
1. 완곡어의 개념
2. 완곡어를 쓰게 된 이유
3. 완곡어법과 그 기능
4. 완곡어의 예
5. 완곡어와 금기어의 대체관계 및 영향
6. 생각해 봅시다. “완곡어들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이유“
Ⅳ. 전문어
1. 전문어의 개념 및 특성
2. 전문어의 여러유형
3. 일반어와 전문어의 예시 비교
4. 전문용어의 어휘적 특징
5. ‘기’류 전문어의 띄어쓰기
6. 전문어의 아쉬운 점과 해결방안
Ⅴ. 새말
1. 어휘의 변화와 새말의 개념
2. 새말의 어원적 변화와 어종에 따른 분류
3. 생성유형에 따른 분류
4. 우리말을 써야하는 이유
5. 어법에 맞지 않는 새말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인간은 언어로 생각하고 언어로 의미와 뜻을 나눈다. 따라서 다양한 언어와 어휘들을 사용해 자신이 전달하려는 의미와 뜻을 다양하게 전달하며 의사소통을 한다. 가령, 표준어 외에도 자기 지역이나 직업, 집단에서 통용되는 직업어 또는 전문어, 은어와 속어, 관용어, 약어, 지역 방언, 남성어와 여성어, 신어 등 다양한 어휘들을 함께 사용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언어 표현을 도모하려는 언어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어휘의 생성과 확대, 변화는 곧 우리 삶의 양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조상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반영하여 만들어진 금기어, 금기어를 불쾌감이 덜하도록 대체한 단어인 완곡어, 또 어휘의 대량 생성과 확대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예로 전문어, 그리고 새말 이렇게 4가지 어휘양상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기로 한다.

Ⅱ. 금기어

1. 금기와 금기어
금기는 신성시되거나 추악시 되는 사람, 사물, 장소, 행위, 언어 등에 관하여 말하거나 접근하거나 만지거나 하는 행위를 금하고 꺼려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금기어는 금하거나 꺼리는 내용이 문장(Sentence)으로 표현되어 구전되어 온 말이다. 금기어라고 하는 것은 원래 비속어나 욕설어와 관계없이, 말하는이가 듣는이에게 수취감, 불쾌감이나 공포감을 불러일으키게 하므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거나 기피되는 단어와 표현인 ‘삼가는 말’을 가리키기도 한다.
참고문헌

강신항(1991), 『현대국어 어휘사용의 양상』, 태학사.
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김광해(1999), 『국어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광해(1999),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김미형(2000), 국어 완곡표현의 유형과 언어심리 연구, 한말연구학회.
노대규(2002), 『한국어의 화용의미론』, 서울 국학자료원.
박종호(1998), 국어와 영어의 완곡어 비곡어 표현, 안양대 사회과학연구소.
최현섭(1983), 경기도 팔탄면의 금기언, 특집호, 인천교육대학.
허재영(2000), 『생활속의 금기어 이야기』, 역락출판사.

고등학교 국어(하) 교과서 : 새말의 탄생 부분.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Daun 카페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한말글 광’ 부분.
한국과학기술원 전문용어 언어공학 연구센터, 문화관광부
한국경제 신문 ‘말짱글짱’ 부문 홍석호 기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