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1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
 2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2
 3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3
 4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4
 5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5
 6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6
 7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7
 8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8
 9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9
 10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0
 11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1
 12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2
 13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3
 14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4
 15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5
 16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6
 17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7
 18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8
 19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19
 20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학]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한-중 관계의 변화
1) 중국 기본 입장의 변화
2) 경제적 필요성

3. 중국의 대외적 정책방향
1) 동북아 신국제질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 한반도에 대한 일본의 대한반도 영향력을 견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3) 역내 국가들과의 공동보조를 모색하고 있다.

4. 박정희에서 노무현까지, 한국의 對중국 외교
1) 대외전략의 결정요인
2) 박정희의 대중외교
(1) 전략적 사고의 ‘파종(播種)’
(2) 가치보다 국가이익
3) 전두환의 역할 - 적극적 무역외교 시행
4) 노태우 시기 - ‘북방정책’의 명과 암
(1) 서방과는 다른 행보
(2) ‘집착’의 한계
5) 김영삼의 5년 - 북핵의 그림자
6) 김대중 정부
(1) ‘햇볕정책’과 평화전략
(2) 국내 인식의 변화
7) 노무현 정부
(1) 평화번영정책과 ‘동북아 전략’
(2) 대외관계의 세 유형
1) 김대중 정부의 정책을 계승했다.
2) ‘국격’과 ‘자존’을 중시하는 외교를 강조했다.
3) 동북아’에 대한 초점이 명확하지가 않다.
(3) 한중 공조추세의 강화
8) 전략적 사고에 대한 제언

5. 중국의 對 북한정책의 변화
1) 중․북한간 교류
(1) 정치 외교적 측면
(2) 군사 전략적 측면
(3)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
2) 중․북한 관계의 향방

6.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외교정책의 방향
1) 중국 : 등거리외교
2) 중국의 속셈
3) 중국의 전략에 대한 정책 방향
4) 한-중 간의 미래
5) 신중한 일관성의 외교정책

7. 중국의 외교정책이 한반도에 던져주는 시사점

8. 주변국의 대외적 정책방향
1) 미국의 대외적 정책방향
2) 일본의 대외적 정책방향
3) 러시아의 대외적 정책방향

9. 주변4국의 활용한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
1) 북한의 대미·일 관계 정상화
2) 북한의 변화와 개방 여건 조성
3) 한반도 대량살상무기 제거와 군비통제
4) 대북한 개방유도
5) 한반도 통일지원 유도방안
6) 동북아 신국제질서 전망

10. 주변4국의 활용한 남북한 교류·협력을 활성화 방안

11.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서론
근래 들어 부쩍 자주 듣게 되는 질문이 하나 있다. ‘과연 한국은 외교전략을 갖고 있는 나라인가?’가 그것이다. 물론 이러한 의문이 꼭 노무현 정부에 대해서만 적실성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뭔가 제대로 충분히 풀리지 않고 있는 지금 한국의 대외관계에 대해 많은 이들이 안고 있는 질문이 아닌가 싶다. 한국 정부의 ‘바른 소리’가 왠지 몽니라는 덤까지 붙어 되돌아오는 듯한 미국과의 관계나, 우리가 원하는 바의 정반대로만 가는데도 어쩔 도리가 없어 보이는 일본과의 관계를 보면서 이러한 의문은 증폭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렇게 답답한 상황이 지난 3~4년 동안에 그저 뚝딱하고 만들어진 것은 아닐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노무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 시행된 여러 정책들이 그 촉매로 작동했다는 점을 충분히 감안하더라도, 훨씬 이전부터 대(對)미국 및 대(對)일본 관계의 여러 난맥상이 드러나고 있었음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만일 이와 같은 문제의식이 상당 부분 적실하다면 우리에게는 시급히 점검해야 할 또 하나의 영역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한국과의 협력과 공조가 잘 이루어져온 것으로 평가받는 중국과의 관계이다. 과연 한국에 ‘대(對)중국 전략’은 존재했고 또 존재하고 있는가. 이미 세계의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은 한국에는 최대 교역국이자 최대 투자 대상국이며, 경제뿐 아니라 외교관계에서까지 그 영향력이 이미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국가이다. 중국이 한국에 중요해지면 해질수록 우리는 더욱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치밀한 전략적 사고를 키워야 하며 단순한 ‘경제주의’적 발상을 과감히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장에선 한국과 중국과의 정치적인 외교관계의 변화와 양국을 포함한 4강들의 평화정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정재호 서울대 교수·국제정치학
신종호, 2006 , 후진타오체제 중국 경제외교와 대외전략적 함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타 중국연구소, 중국연구 제 37권 p.397-p.415
신종호, 2005, 국제전략환경의 변화와 중미관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중소연구 통권 106호 p.113-p.141
문흥호, 2005, 중국의 대외정책 전략, 동북아시대와 중국 ; 중국의 대외전략: 동북아 및 한 반도정책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국제정치
박홍서, 2006, 신현실주의 이론을 통한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정치학회보 제40집 제1호
한석희, 2006,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 국제정치논총
주요야, 2004, 중국의 발전과 한반도의 평화,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정책과학연구
리단, 2004, 중국의 북한정책의 변화와 한반도 통일,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구 영남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연구
마딩성, 2005, “중국, 한반도 통일시켜 일본 견제해야” YTN 보도자료에서 발췌, 홍콩 亞洲週刊
안정수 외 3인저, “소련,동구,중국, 북한 그 변화의 실상”, 문우사
대중국 교역 및 투자안내, 한국무역협회
안유교, “사회주의 상품경제론”,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이문봉, “동남아시아의 화교기업”, 길벗
삼성경제연구소, “ 해외인적자원관리 핸드북”
이근, “ 현대 중국사회의 이해”, 사회문화연구
중국인의 상관습과 협상요령”, 대한상공회의소
황위정,“중국의 지하경제”, 대외투자개발원
“중국시장진출전략”, 한국무역협회
장경성, “ 현대중국사회의 이해”, 사회문화연구소
이규태, “동양인의 의식구조”, 덕성문화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중국문화특성과 정치체제
손권한, “중국병”, 보성사
유국광,“중국40년 경제건설과 10년 경제개혁의 여정”, 동아시아경제연구원
공건, “중국인 & 일본인”, 21세기 정보전략연구소
극동문제연구소,“최신중국용어 정보사전”, 극동문화

하고 싶은 말
한 중 외교관계와 주변 4강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상세하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방문자 여러분의 학업에
무궁한 발전이 있으시고
모든일 만사형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