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

 1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
 2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2
 3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3
 4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4
 5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5
 6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6
 7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7
 8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8
 9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9
 10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0
 11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1
 12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2
 13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3
 14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4
 15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5
 16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6
 17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7
 18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8
 19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19
 20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상] 이황과 율곡의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황과 이이의 생애
1) 이황의 생애
2)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3) 이이의 생애

3. 이황과 이이의 사상적 조류
4. 이황의 경과 이이의 성 사상
1) 이황의 경 사상
2) 이이의 성(誠)사상

5. 이황과 이이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1) 인심과 도심
(2) 양주의 주장
(3) 퇴계의 주장
(4) 이분법적 대결구도의 산물

6. 이황의 이원론과 이이의 이기론
1) 일원(一元)과 이원(二元)
2) 이황의 이원론
(1) 리(理)는 자연히 양을 낳고 음을 낳는다.
(2) 리는 본체적[體], 기능적[用]인 두 가지 양상을 가지고 있다
(3) 리는 추상적인 원리로서 그 자신 운동성과 생성력이 있다.
(4) 리는 기에 내재되어 기의 존재 법칙이 된다.

3) 이이의 이기론(理氣論)
(1) 기는 우주적 실체로서 본래부터 존재한다.
(2) 스스로 작용하는 것은 기 뿐 이다.
(3) 기`의 유위성 즉 능동성, 변화가능성에서 가능하다.
(4) 이와 기는 ‘이기지묘(理氣之妙)’라고 표현하였다
(5) 기 속에는 이가 존재하는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제시하였다.(6) 기와 이는 상호의존적이며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7) 이이의 이기론(理氣論)이 가지는 특색

4) 퇴계 이원론과 이이의 이기론의 차이
(1) 퇴계 이원론과 이이의 이기론 비교
(2) 사회적, 윤리적 갈등과 불균형 해결에 시사점 제공

7. 이황과 이이의 궁리(窮理)와 거경(居敬)에 대한 견해
1) 궁리2) 거경3) 입지(立志)

8. 결 론





본문내용
사칠논쟁의 학문적 의의
퇴계와 고봉이 주고 받았던 사칠논쟁은 학문적 진지성과 자신의 심성론적 논거를 규명하는 분석의 치밀함에서 한국유학사의 학문적 논쟁에 모범이 되고 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인간을 본질적으로 선한 존재라고 규정한 맹자가 있고, 그 반대라고 주장한 순자도 있다. 욕망을 지니고 있는 인간이라는 존재를 어떻게 규정하고 그 욕망을 어떻게 조절 통제하느냐가 이들의 주된 관심이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인간에 대한 규정이 옳으냐, 그르냐 보다는 그러한 규정에 따라 인간의 행동 양식을 어떻게 이끌어 내려고 하였느냐에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조선조 주자학자들이 '사단'과 '칠정'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인간의 심리 현상을 분석한 것은 이유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분석이 개인의 주관적 독단에 그치지 않고 논쟁을 통해 객관적 사고로 넘어가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것은 특이하다. 사상사적인 입장에서 볼 때 이 논쟁은 심성론과 이기론의 결합을 처음으로 시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요 개념인 사단 칠정에 관한 제 규정이 이 논쟁에 이르러 비로소 개념적 명확성을 획득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2) 이이의 생애
본관 덕수(德水), 자 숙헌(叔獻), 호 율곡(栗谷)·석담(石潭), 시호 문성(文成), 강원도 강릉 출생이다. 사헌부 감찰을 지낸 원수(元秀)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사임당 신씨이다.1548년(명종 3) 진사시에 합격하고, 19세에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다가, 다음해 하산하여 성리학에 전념하였다. 22세에 성주목사 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고, 다음해 예안의 도산(陶山)으로 이황(李滉)을 방문하였다. 그해 별시에서 을 지어 장원하고, 이 때부터 29세에 응시한 문과 전시(殿試)에 이르기까지 아홉 차례의 과거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일컬어졌다. 29세 때 임명된 호조좌랑을 시작으로 관직에 진출, 예조·이조의 좌랑 등의 육조 낭관직,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 등의 대간직, 홍문관교리·부제학 등의 옥당직, 승정원우부승지 등의 승지직 등을 역임하여 중앙관서의 청요직을 두루 거쳤다. 아울러 청주목사와 황해도관찰사를 맡아서 지방의 외직에 대한 경험까지 쌓는 동안, 자연스럽게 일선 정치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하였고, 이러한 정치적 식견과 왕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40세 무렵 정국을 주도하는 인물로 부상하였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이영경 / 철학과 현실사
-『국역 율곡집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7, p. 159.
-『국역 퇴계집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7, p. 389-390.
- 율곡의 이기철학 체계에 대한 연구 (김종문, 한국 철학 연구회)-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퇴계 학파와 이 철학의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하고 싶은 말
이황과 율곡의 사상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잘 언급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방문자 여러분의 학업에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