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정치적 무관심

 1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1
 2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2
 3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3
 4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4
 5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5
 6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6
 7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7
 8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학] 정치적 무관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정치적 무관심

1. 정치적 무관심의 의미
① 탈정치적(depolitical)태도
② 무정치적(apolitical)태도
③ 반정치적(antipolitical)태도

2. 정치적 무관심을 조장시키는 요인
(1) 현대의 정치과정의 거대화 및 복잡화
(2) 각종 분업에 다른 심신의 피로와 정신의 수동화.
(3) 매스컴의 마취적 기능과 소비문화의 비정치적 역할
1) 비정치적 영역에의 집중화
2) 가치감각의 중화화(中和化)
3) 정치의 소비화 · 오락화
4) 번영된 사회생활
(4) 신념체계의 파괴를 가져오는 아노미(anomie)와 소외
① 급성아노미
② 단순아노미
① 정치적 무력감
② 정치적 무의미감
③ 정치적 무규범감(無規範感)
④ 정치적 고립감

3. 정치적 무관심이 가져오는 것
(1) 정치적 무관심이 나타난 결과
(2) 정치적 무관심에 대한 찬반론
1) 맥클로스키는 낙관적인 견해
2) 워커(Jack L. Walker)의 부정적인 견해




본문내용
2. 정치적 무관심을 조장시키는 요인
(1) 현대의 정치과정의 거대화 및 복잡화
현대의 정치과정의 거대화와 복잡화는 일반대중으로 하여금 무력감을 갖게 하는 요인이 되었는데 바로 이와 같은 무력감은 마침내 정치적 무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기네들의 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 정치적 결정이라도 자기네들이 어떻게 통제할 수 없다는 의식이 일반대중을 깊이 사로잡게 되면 될수록 그들 사이에 걷잡을 수 없는 일종의 체념과 무력감이 감돌게 된다. 더구나 유권자 수가 수십만, 수백만으로 증가하게 되면 “나 하나쯤 기권하면 무슨 일이 생길까?” 하는 모양으로 자기 자신을 왜소화 시키려는 심정을 낳는다. 뿐만 아니라
① 정치는 어려워서 일반인들이 좀처럼 이해할 수 없다는 감각
② 정치는 보통사람의 힘으로써는 뜻대로 할 수 없다는 무력감
③ 정치는 전문적인 정치가에 전적으로 일임해 두려는 것 같은 수동적인 태도
④ 일상생활에는 별로 정치적인 지식이 필요 없으므로 오히려 사적 생활에만 전념하는 것이 낫다는 도피적인 태도 등이 보여 지기 쉽다.
또한 집단조직의 거대화 · 관료화 · 과두화에서 생기는 일반대중의 소외의식은 무관심을 자아내는 온상이 되기 쉽다.
(2) 각종 분업에 다른 심신의 피로와 정신의 수동화.
오늘날에는 분업의 발달로 인하여 매우 세분화된 틀에서 박힌 일과를 되풀이하는 동안 외부의 세계와의 연결은 일상적인 의식 밖에 놓여진다.
원래 분업은 플러스의 기능과 마이너스의 기능을 아울러 한다. 분업은 ① 생산과 능률의 증대 ② 전문화를 가져오는데 이것은 플러스 기능이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이극찬 『정치학』, 법문사, 1977.


Herbert McClosky, "Political Participatio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 12(1969)
Jack L. Walker, "A Critique of the Elitist Theory of Democrac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60(1966)
Lassewell and Kaplan, Power and Society
하고 싶은 말
정치적 무관심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비교잘 해 정리하였습니다.
제 레포트를 통해 정치의 무관심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