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

 1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
 2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2
 3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3
 4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4
 5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5
 6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6
 7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7
 8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8
 9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9
 10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0
 11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1
 12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2
 13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3
 14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4
 15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5
 16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6
 17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7
 18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8
 19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19
 20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헌법]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판례분석
Ⅲ. 쟁점 소개
Ⅳ.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 심사 가능성 - 헌법개정의 한계
V. 헌법재판소에 의한 위헌심사의 허용여부
Ⅵ. 헌법 제29조제2항의 위헌여부의 판단
Ⅶ.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헌법 제29조 제2항에 근거한 국가배상법 제 2조 1항에 의하면 군인, 군무원, 경찰공무원 또는 향토예비군대원은 다른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상을 지급받을 시에는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이러한 국가배상법의 국가배상청구금지규정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본래 이러한 국가배상청구금지규정은 과거 제 3공화국 말기인 1971년 위헌법률로 지목되어 당시 위헌법률심사권을 가지고 있던 대법원에 의해 헌법상 평등의 원칙을 벗어났고, 기본권 제한의 범주를 넘어 권리 자체에 대한 박탈이라는 이유로 위헌판결이 내려졌었다. 당시, 정부는 법원조직법을 개정하는 등 국가배상청구금지규정의 위헌판결을 막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였다. 결국 개정된 법원조직법 역시 위헌판결이 내려지고 위헌의견 9명, 합헌의견 7명이었던 이 국가배상청구금지규정에 대해서 위헌판결이 내려졌다. 이 위헌판결이 내려진 후 1972년 10월 제 7차 헌법개정을 통해 이른바 유신헌법을 만들면서, 이 국가배상청구금지규정에 대한 위헌시비를 없애기 위하여 직접 헌법 제 29조 제 2항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을 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 이후 2차례의 헌법 개정을 더 거치게 되지만 이 조항은 여전히 살아남아 있다.
이에 따라 헌법재판소는 95헌바3의 판례에서도 나타나듯 헌법이 개정되지 않는 한 더 이상 국가배상법의 국가배상청구금지규정에 대해서 위헌심사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헌법규정에 대한 위헌심사를 헌법재판소는 부정하고 있고, 위헌의 소지가 있다 하더라도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면 헌법규정이기에 합헌이라고 평가되며, 국가배상법 제 2조와 같이 그 헌법규정에 근거한 법률규정 역시 그것이 헌법규정에 근거했기에 당연히 합헌이라고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국가배상법의 국가배상청구금지규정과 헌법 제 29조 제 2항은 내용의 정당성을 물론, 그 입법과정만 살펴보더라도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과연 헌법의 이념과 헌법이론 등에 비추어 헌법규정 위헌심사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태도가 올바른 것인가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고 논의를 시작하려한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지금부터 일정한 헌법규정이 ‘헌법핵’이라 명명되는 헌법의 핵심적인 내용, 헌법의 기본원리에 위반될 시 그 헌법규정에 대하여 위헌심사가 가능할지 여부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참고문헌
강경근, 국가배상청구권과 헌법규정의 위헌심사, 고시연구 1994년 7월호
구병삭 ․ 강병근, 『국민투표』, 민음사
권영설, 이인호, 헌법제정권력이론의 역사적 고찰, 헌법학연구 제1권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김명재, 헌법제정권력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1
김철수, 19 정정신판, 박영사, 2007
김철수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지위와 권한」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 1980
김학성,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단서의 위헌여부, 헌법학연구 제2집
김학성, 헌법소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0
김효전 역, 정치신학, 법문사, 1988
루돌프 스멘트, 김승조 역, 국가와 사회, 교육과학사, 1994
목촌 金道迫 박사 팔순 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한국공법이론의 새로운 전개』, 三知院(서울 : 2005)
민경식, 시에예스의 헌법제정권력이론, 고시연구 1992.3
성낙인, 『헌법연습』, 법문사(서울 : 2001년)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에른스트-볼프강 뵈켄회르데, 『헌법과 민주주의』, 김효전․정태호 역, 법문사
이기우, 「대의민주제의 한계와 직접민주제의 필요성」, 『한국공법이론의 새로운 전개』(牧村 金道迫 博士 八旬 記念論文集), 三知院(서울 : 2005)
장영수, 『국가조직론』, 홍문사(서울 : 2005)
정연주 헌법 제29조 제2항에 대한 헌법소원, 헌법학 연구 제5권 제2호
정종섭, 『대한민국 헌법』, 금붕어(서울 : 2007)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정종섭, 『헌법소송법』(제4판), 박영사
콘라드 헤세, 헌법의 기초이론, 계희열 역, 삼영사, 1985
홍정선, 국가배상청구권의 강화와 국가배상법의 개정, 고시계, 1996, 4월호
홍준형, 행정구제법
Amitai Etzioni, 『The Sprit of Community』, 1993
Daniel Kemmis, Community and the politics of the Place. 1990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