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

 1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
 2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2
 3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3
 4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4
 5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5
 6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6
 7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7
 8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8
 9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9
 10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0
 11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1
 12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2
 13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3
 14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4
 15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5
 16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6
 17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7
 18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8
 19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19
 20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향가와 『균여전』 1


Ⅱ. 「보현십원가」 2

1. 예경제불가 3
2. 칭찬여래가 4
3. 광수공덕가 6
4. 참회업장가 7
5. 수희공덕가 8
6. 청전법륜가 9
7. 청불주세가 11
8. 상수학불가 12
9. 항순중생가 13
10. 보개회향가 14
11. 총결무진가 15


Ⅲ. 「도이장가」 16


< 참고 문헌 > 19
본문내용
Ⅰ.고려향가와 『균여전』

1.향가의 지속과 변이
신라시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던 향가는 고려시대에 들어서서도 일정기간동안 존속하였다. 이것은 문화 담당층이 연속되면서 고려 전기의 사회와 문화가 신라의 경우와 근본적인 동질성을 지니고 있었음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문학적인 면에서 신라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고려중반기(13세기)까지 향가는 한시와 더불어 고려인들의 주요 시가생활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원래의 서정성을 순수하게 지니지 못하고 불교적 교화를 표방하는 쪽으로 기울면서 이미 향가가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은 축소되고 있었기 때문에 향가의 모습은 변모할 수밖에 없었다.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는 과거제도가 처음 실시되는 등 새로운 시대의 이념과 제도가 정립되는 가운데 이를 외면하고 지나치게 교조적인 경향을 보임으로써 향가의 역사적인 기능을 다하게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균여전』에 나타난 향가의 특성과 기능
①불교포교를 위한 발원 기원요의 성격 최철 「균여전 소재 향가 관련 기록 검토」, 국어국문학회편, 『향가연구』,태학사, 1998 pp36~40


이제 흔히 아는 가까운 일에 의탁하여 도리어 생각하기 어려운 먼 종지(宗旨) 종지(宗旨) ①종문(宗門)의 교의(敎義)의 취지. ②주장이 되는 요지나 근본이 되는 중요한 뜻.
를 알게 할려고 10가지 큰 소원의 글을 열한가지 거친 노래를 지으니 이는 여러사람의 눈에는 극히 부끄럽지만은 여러 부처님 마음에 부합되기를 바란다. 비록 뜻과 말이 어긋나 성현의 묘미(妙味)에 알맞지 않겠으나 이 글귀를 전하여 범속(凡俗)의 선근(善根) 선근(善根)〖불교〗①좋은 과보를 낳게 하는 착한 일. ②온갖 선을 낳는 근본. 욕심 부리지 않음, 성내지 않음,
낳기를 바란다. 웃으면서 외우는 이는 송원(誦願)의 인연을 맺게 될 것이며, 비방하면서 외우는 이도 염송(念誦)의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가행화세분(歌行化世分)」
참고문헌
단행본

국어국문학회편, 『향가연구』, 태학사, 1998
강길운, 『향가신해독연구』, 한국문화사, 2004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출판부, 1991
김종우, 『향가문학론-그 성격 파악을 위한 연구』, 연학문화사, 1971
김학성,『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 출판부, 1980.
류렬, 『향가연구』, 박이정, 2003
無比스님,『보현행원품 강의』.민족사.1997
양주동, 『고가연구』, 일조각, 1965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85
양희철, 『고려향가연구』, 새문사, 1988.
유창균, 『鄕歌批解』, 형설출판사, 1994
윤영옥, 『고려시가의 연구』, 영남대출판부, 1991
임기중 외, 『새로 읽는 향가문학』, 아세아문화사, 1998
임기중, 『우리의 옛노래』, 현암사, 1993,
장덕순,『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1984
정병욱,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1991
정병헌, 『한국고전문학의 교육적 성찰』,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정열모, 『향가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5
조동일,『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82
조윤제,『조선시가사강』, 동광당서점, 1949
최철,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1997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출판부, 1990
최철,『향가신해독연구』, 학문사, 1995.

논문

김갑기, 「고려가요의 계통문제」,『한국문학연구』3,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1980.
김기탁, 「도이장가에 대하여」, 『영남어문학』9, 영남어문학회, 1982
김동욱, 「도이장가에 대하여」, 『한국가요의 연구 ‧ 속』, 선명문화사, 1975
-----, 「도이장가의 문헌민속적 고찰」,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김미란, 「향가의 지속과 변이」, 최철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1997
김상일, 「남의 공덕을 같이 기뻐하는 노래」임기중 외,『새로 읽는 향가 문학』,아세아문화사, 1998
김승찬,「均如傳과 청전법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