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

 1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
 2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2
 3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3
 4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4
 5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5
 6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6
 7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7
 8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8
 9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9
 10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0
 11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1
 12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2
 13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3
 14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4
 15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5
 16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6
 17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7
 18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8
 19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19
 20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개발] 문화재 주변지역 개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 론 1
1. 설계의 배경과 목적 1
2. 설계의 범위 1
(1) 공간적 범위 1
(2) 내용적 범위 2
Ⅱ. 본 론 3
1. 도시의 역사성의 필요성과 개념 3
(1) 도시역사성 보전에 관한 개념 3
(2) 도시역사성 보전의 배경 3
(3) 역사적 보존의 필요성 3
2. 역사적 보전의 대상과 판단기준 5
(1) 역사적 보전의 대상 5
(2) 역사적 보전의 가치판단 기준 5
(3) 역사적 보존의 유형 6
(4) 역사적 보전의 계획 수법 7
3. 선진도시 역사성 보전의 재조명 10
(1) 파리시 10
1) 도시 역사성 보전의 중요한 요소 10
2) 파리시의 도시 역사성에 대한 평가 11
(2) 일본의 역사 환경 보존. 재생 12
(3) 이탈리아 역사환경 보존, 재생 13
4. 우리나라의 역사성 보존문제 14
(1) 도시 역사성 보전과 관련한 일반적인 문제 14
(2) 서울시 한옥보존지구를 중심으로 본 문제 16
5. 가회동 지구개요 19
(1) 지구현황 19
(2) 지구내 문제점 20
(3) 개발방향의 설정 21
1)개발원칙 21
(4) 문제해결을 위한 전제조건의 검토 21
(5) 개발단위의 설정 22
(6) 주차문제 22
1) 짜투리 필지를 이용하는 방법 22
2) 폭 6m 이상 도로의 가로변을 이용하는 방법 23
(7) 소방문제 (화재발생시) 23
6. 일반현황 Check List 24
(1) 블록유형별 가로체계 ( 세부 설명 ) 26
7. 역사 환경 보존 관련 Check List 27
8. 설계 대상지 블럭 현황 28
(1) 토지이용현황 28
(2) 필지 현황 29
(3) 블록 현황 31
(4) 건축물 현황 32
(5) 가로망 현황 34
(6) 지형 분석 34
(7) 역사관련 체크리스트 현황 35
1) 한옥의 지붕형태 35
2) 외벽의 형태 35
3) 층수 36
4) 대문 36
5) 한옥의 보존유형 37
6) 재료·색채 37
7) 주차장 유·무 38
9. 기본구상 38
(1) 개별지침의 설정 39
10. 역사적 환경 분석을 통한 도시주거 환경 개선 방안 40
(1) 건물계획 40
1) 개발의 전제 40
(2) 일반현안에 대한 계획 40
1) 토지이용계획 40
2) 제도적 개선방안 41
3) 전통한옥의 설계요소의 설정 42
(3) 가로망 계획 44
1) 동선계획 44
2) 주차계획 44
3) 가구내 도로에 관한 개선방안 44
4) 가로망 계획 45
5) 주요가로별 가로조성지침 46
(4) 오픈스페이스 계획 47
1) 안마당 47
2) 바깥마당 47
3) 보존 세가로 47
4) 국공유지 및 짜투리 필지 47
♣ MASTER PLAN 48
Ⅲ. 결 론 48
※ 참고 문헌 50
본문내용
서울의 가회동은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주거지 중의 하나로 조선시대의 양반들이 모여 살던 북촌의 대표적 모습이 남아있는 곳으로 1983년 서울시가 가회동을 비롯한 이 일대 20여만평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하여 보존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무조건적인 보존이라는 강압적 규제는 정체된 주거 문화만을 낳았으며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지역주민의 집단적 이해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에 서울시는 1991년 6월 '한옥보존에서 지구 환경보존으로 목표를 확대 설정하고 일정한 건축기준과 주민의 마을관리 아래 북촌을 우수 주거지로 되살아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기존의 한옥보존지구 및 건축기준 고시를 철폐하고, 전통건조물 보존지구 지정계획을 철회하였다. 또한 보존 희망가구에 대하여 개수시 보조금 지급 및 재산세 감면 등의 방법으로 지원한다는 주요 내용의 "한옥보존지구 대책안"을 발표하게 된다.
결국 이것은 현실적으로 이미 이 지역에 세워졌거나 세워지고 있는 다세대 및 다가구 주택, 그리고 일반 업무, 문화, 상업시설들로 인하여 서울에서 가장 역사적인 주거지가 갖는 전통적 주거환경의 미래상이 비관적으로 예시되어 진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개발(경제적 측면)과 보존(전통적 측면)의 대립되는 개념을 절충한 중간적 입장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가회동 일대의 주거환경 설계안을 계획ㆍ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문헌
※ 참고 문헌
1. 윤정현, “도심내 한옥 밀집 지역의 역사 경관 보존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 1991.
2. 김미진, “도시내 한옥보존지구 지정을 위한 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 1989.
3. 김정훈, “도심내 전통 건조물 지구의 역사, 문화 환경 보전 계획”, 서울대, 석사, 1989.
4. 이승엽, “도심지 전통 한옥 주거지 개발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계명대, 석사, 1997.
5. 정석,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Ⅱ) - 북촌 가꾸기 사례연구, 서울 시정 개발
연구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