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론](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

 1  [통사론](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1
 2  [통사론](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2
 3  [통사론](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3
 4  [통사론](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4
 5  [통사론](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사론](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음 문장에서 case의 의미가 중의적(ambiguity)인지 애매한지(vagueness) 'do so identity test' 와 'sense relation'에 판별하여라.
2. 다음 단어들의 관계의 반의어의 종류로 규명하시오.
3. 명사를 사용하여 하위관계의 예를 제시하고 얼마나 많은 층위로 이루어져있는지 알아보 아라.

4. 부분관계의 예를 제시하고 이행성(transitivity)에 대해 논하시오.
본문내용
can의 root meaning 에 대하여

① I can lift the rock
②That can't be true.
③ Can he be still alive after all these years?

①의 'can'의 경우 '능력을 나타낸다. ②의 경우는 '강한 추측'을 나타낸다. ③의 경우는 ''가능성을 추측'하는 경우이다. 그렇다면 can의 root meaning을 무엇으로 해야 할까?
흔히 can의 의미를 deontic can 과 epistemic can로 나누며 이 둘 중하나를 root meaning로 잡아야 한다.

①번의 경우 내가 그렇게 할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대상에 대해 내가 취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ability can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는 논리적인 능력으로 어떤 사람이 상태나 세계에 혹은 사건들에 대해 필연적으로 가하는 것으로 그렇게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②③은 ①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가진다. 이것은 우리의 인식론적인 무언가가 첨가되어 그렇게 결론 내려지도록 한다. ②That can't be true.와 같은 경우는 그것이 사실일 리가 없다는 우리의 생각이 들어간 추측이고 ③ Can he be still alive after all these years? 은 그가 능력이 있어서 살아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가능성을 추측하는 것으로 이 둘 모두를 epistemic can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고 싶은 말
문제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