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

 1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1
 2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2
 3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3
 4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4
 5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5
 6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6
 7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7
 8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8
 9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9
 10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10
 11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11
 12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12
 13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13
 14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04.05.02
  • 14페이지 / hwp
  • 3,000원
  • 9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독후감]`21세기 자본주의와 한국사회변혁`을 읽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편 21세기, 신자유주의, 세계혁명
1. 21세기: 혁명을 향한 대장정의 시작
2. 신자유주의와 노동계급의 정치
1.세계화, 세계체제, 신자유주의
1)포스트담론 논쟁
2)세계화와 신자유주의
2.신자유주의와 노동계급의 정치
3.사회진보와 한국사회변혁
1.머리말
2.'진보'의 개념을 둘러싼 논쟁
3.진보,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4.세계자본주의체제와 한국사회
5.한국의 사회진보의 기반구축을 위하여
4. 신자유주의와 21세기 한국자본주의
1.머리말
2.IMF 관리체제 하의 한국자본주의

3.신자유주의에 맞선 노동자계급과 민중의 투쟁
4.맺음말: 한국노동운동의 미래와 세계적 연대
5.반(反)세계화와 한국에서의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제 2편 변혁주체형성, 전선운동, 노동계급의 정치

1. 변혁주체의 구성과 그 실천: 한국사회의 변혁과 관련하여
2.막스주의, 프롤레타리아트 그리고 계급투쟁
3.이데올로기와 변혁주체의 구성
4.우리사회의 변혁과 변혁주체의 문제
2.한국사회와 권위주의
1.머리말
2.권위주의의 생산 및 재생산 구조
3.권위주의의 유지를 위한 매개구조와 주체의 형성

4.권위주의의 극복을 위하여
3.노동자계급의 정치운동
4. 1980년대 이후의 한국의 노동자 정치운동 : 정치조직을 중심으로
1. 머리글
2. 변혁적 정치운동의 개괄적 역사
3시기
3. 노동자 정치운동에 대한 평가
1) 비합법 사회주의 노동운동 조직의 시기(86~89)
2) 현실사회주의 몰락과 합법정치운동의 시기(90-92)
3) 김영삼 정권과 합법. 개량주의의 만연시기
4) 총체적 평가
5. 민중연대 투쟁과 한국사회 변혁
6. 계급적 노동운동과 노동자 계급의 정치
제 3편 민족, 계급, 신자유주의, 세계혁명

1. 신자유주의 중국
2. 민족, 계급 그리고 통일
3. 세계혁명과 반제 반미 투쟁 : 한반도의 반제 반미투쟁 평가를 중심으로
4. 한반도의 반제 반미 투쟁의 역사
1) 북조선의 역사해석
2) 한국에서 반제 반미투쟁의 역사
본문내용
체 게바라와 노암 촘스키는 똑같이 1928년 출생하여 세상의 혁명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많은 존경을 받고 있다. 막스와 더불어 이들 같은 위대한 혁명가들의 모든 글과 실천이 모두 20대와 30대초에 이루어지는데 20~30대에는 인본주의적인 관점을 가지다가 40대에 들어서서 결정론적 이론을 확립하고 60을 전후하여 우주론적이고 비결정론적 사고로 변화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데 문제는 젊은세대의 이론적 미성숙을 탓하기 전에 이전에 나이든 세대의 혁명성이 쇠퇴한다는 점이다. 혁명의 본질을 깨닫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혁명수행의 과정은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사실을 깨닫는다고 해서 혁명으로 이어지기는 힘들다.
우리는 과연 보편적 세계혁명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실천할 수 있을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