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

 1  [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1
 2  [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2
 3  [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3
 4  [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4
 5  [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5
 6  [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 - 문명의 여명 : 고인돌에서 대형옹관묘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전라도의 고인돌이야기
1. 전라도 고인돌 분포 현황
2. 전라도 고인돌의 특징
3. 고인돌로 본 전라도의 선사시대
Ⅲ. 영산강 유역 옹관묘 이야기
1. 옹관묘의 현황
2. 영산강 유역 옹관묘의 특징
3. 옹관묘로 본 고대사회의 변화와 성격 (4~6세기)
Ⅳ. 맺음말 (고인돌과 옹관묘 이야기)
본문내용
Ⅰ. 머리말
전라도의 영산강유역은 서남쪽으로 흐르는 영산강을 중심으로 저평한 구릉과 평야로 이루어져 있고, 양 옆으로는 서해안과 남해안을 끼고 있다. 이처럼 온화한 기후와 지리조건으로 일찍부터 사람들이 자리 잡았고, 또한 커다란 산맥이 있어서 그들만의 강한 전통을 갖을수 있게 하였다. 이것을 기반으로 고인돌과 대형 옹관묘라는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영산강유역의 선사 ․ 고대문화는 몇몇의 문헌기록만으로는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그들이 남긴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짐작할 수밖에 없다. 고고학적 자료 중 대표적으로 무덤문화를 꼽을 수 있는데, 무덤은 인류의 흔적을 동반하고, 당대의 문화상을 적나라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덤은 국가적, 지역적 특성을 그대로 함축하고 있어 이것을 통해 사회변화는 물론 문화의 특성도 파악할 수 있다.
전라도의 선사시대로 대표될 수 있는 고인돌[支石墓]은 한반도, 그 중에서도 영산강유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전라도의 고대문화는 옹관묘(甕棺墓)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옹관묘는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고, 또한 봉분의 규모도 최대형이다. 그리고 고분에 사용하기 위한 전용옹관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이 글을 통해서 4~6세기의 영산강 유역의 문화가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었는지, 그리고 이 시기 고대사회를 담당한 세력은 누구였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그리고, 전라도의 선사 ․ 고대문화에서 고인돌과 대형옹관묘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고, 가장 특징적인 것이기 때문에, 전라도의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등의 시대문화를 고인돌과 옹관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성낙준, 「영산강유역 甕棺古墳의 성격」, 역사문화학회, 2000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형성배경」, 역사문화학회, 2000
이영문, 「榮山江流域 支石墓 文化의 性格」, 한국문화사학회, 2004
김주성, 「영산강유역 대형옹관묘 사회의 성장에 대한 시론」,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이영문, 『고인돌 이야기, 』, 다지리, 2001
이영문, 『韓國 支石墓 社會 硏究』, 학연문화사, 2002
최성락, 『전남의 고대문화』, 학연문화사, 2003
이해준, 『다시쓰는 전라도 역사』, 금호문화, 1995
문안식, 이대석, 『한국고대 지방사회』, 혜안, 2004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영산강 문화권』, 역사공간,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