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

 1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1
 2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2
 3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3
 4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4
 5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5
 6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6
 7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7
 8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8
 9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9
 10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10
 11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11
 12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12
 13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13
 14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14
 15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터넷중독] 인터넷 중독 치료와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터넷의 발전 과정

Ⅲ. 청소년 인터넷 이용 실태

Ⅳ. 인터넷 중독의 원인
1. 인터넷 자체의 속성이 인터넷 중독을 야기한다는 것이다(Griffiths)
2. 인터넷의 두 특성인 의사소통과 잠복성이 중독을 야기한다(King).
3. 인터넷 중독은 과각성(過覺醒) 상태를 추구하는 장애이다(Wellman).
4. 인터넷은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장애이다(Walther).
5. 인터넷 중독증은 관음증(Voyeurism) 상태 혹은 노출증(Exhibition)의 변형이다(King).
6. 자기실현의 좌절을 겪는 사람들이 곧 인터넷 게임 중독에 잘빠지게 된다(Suler).
7. 인터넷 중독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 정신병리가 원인이다(Rauschenberger).

Ⅴ. 인터넷 중독과 자기존중감

Ⅵ. 인터넷중독에 빠지기 쉬운 타입
1. 우울증
2. 자존감
3. 외로움
4. 공격성

Ⅶ. 인터넷 중독 치료의 어려움과 실패의 요인들
1. 인터넷 중독 치료의 어려움
1) 이 현상을 잘 아는 치료자가 많지 않다.
2) 선행병리를 치료하는 것만으로 호전되지 않는다.
3)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생활하도록 권할 수 없다.
2. 인터넷 중독 치료의 실패요인들
1) 선행병리가 나아지면 모두 나아질 것이라는 가정
2) 중독에 대한 지나친 강조
3) 부모교육의 실패
4) 가족참여의 실패
5) 현실 대인관계 재구성의 실패
6) 중독자 자조활동의 부재
3. 인터넷 중독자에 대한 치료가 성공하기 위한 요건
1) 병적 사용자의 online activity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병적 사용자의 reinforcer 체계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병적 사용자의 support system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4. 기타

Ⅷ.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입
1. 예방
2. 치료
1) 개인상담
2) 집단상담

Ⅸ. 결론
본문내용
인터넷 중독이라는 용어는 1996년 심리학자인 Goldberg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같은 해 심리학자 K. Young이 미국심리학회(APA)에서 인터넷 중독척도를 발표함으로써 공식화되었다. Young(1996)에 의하면, 어떤 사람들은 인터넷에서 새로운 정보를 찾는데 몰두하면서 주변의 일상사에 흥미를 상실하고 실생활에서 무력감을 느끼게 되며, 현실 인간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만족과 즐거움을 급속히 상실하는 경우가 있다. 심할 경우 이들은 오직 가상공간에서만 즐거움을 느끼고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으면 금단현상까지 나타내며, 급기야는 현실감을 잃고 인터넷 교제에 흠뻑 빠져들어 실생활의 인간관계에 무심해지고 대인 기피증을 보이기도 한다. Young은 인터넷에 너무 탐닉해 병적 증세를 나타내는 현상들을 총체적으로 인터넷 증후군(Internet Syndrome), 웨바홀리즘(Webaholism) 혹은 인터넷 중독 장애(Internet Addiction Disorder; IAD)라 부른다. 하지만 아직 학술적으로 정립된 용어가 없다. 통상 인터넷 증후군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인터넷의 과다한 사용으로 현실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의 신체적, 정신적 이상현상을 경험하는 것을 말하며, Young과 Goldberg가 정리한 바와 같이 과다한 인터넷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가장 흔한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거의 매일 빠짐없이 인터넷에 접속한다. 접속하고 나면 시간감각을 상실한다. 외출 회수가 점차 줄어든다. 집이나 직장에서 어울려 식사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아 식사한다. 인터넷 상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을 부인한다. 주변 사람들로부터 컴퓨터 앞에 너무 오래 앉아 있는 다고 불평을 듣는다. 하루에도 수없이 전자우편함을 확인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홈페이지 주소를 알리는데 몰두한다. 직장에서 바쁘더라도 인터넷에 접속한다. 집에 배우자나 다른 식구들이 없으면, 안도감을 갖고 인터넷에 접속한다.
당시 Young의 연구결과는 인터넷 중독이 약물 중독이나 알코올 중독 혹은 병적 도박과 비슷한 증상과 경과를 보이며, 중독으로 인한 피해 역시 상당히 크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인터넷 중독을 새로운 중독증상으로 임상심리학 진단기준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그 이후 인터넷중독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내에서도 송원영과 윤재희등에 의해 인터넷중독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이후 임상심리학적 관점에서 인터넷중독의 실태와 이에 관련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터넷 중독자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기 효능감(self efficacy)이 낮고, 우울 성향과 충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