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

 1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
 2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2
 3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3
 4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4
 5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5
 6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6
 7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7
 8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8
 9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9
 10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0
 11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1
 12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2
 13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3
 14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4
 15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5
 16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6
 17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7
 18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8
 19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19
 20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윤리교육론] 중학교 도덕 교육의 실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7차 교육과정 도덕 교육의 방향

1.1. 도덕과의 성격 및 목표
1.2.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및 조직
1.3. 도덕 교과서의 구성 원칙
1.4. 도덕과의 지도 및 평가 상의 유의점

2. 도덕 교육의 실태

2.1. 교사들을 통해 본 도덕 교육의 실태

(1) 교사들이 제시한 도덕과 교육의 필요성과 이유
(2) 중학교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인 목적과의 부합 여부
(3) 도덕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4) 교사가 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과 그 이유
(5) 도덕과 평가
(6) 도덕과 수업을 하면서 느끼는 교사들의 애로 사항

2.2. 학생들을 통해 본 도덕 교육의 실태

2.3. 개별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긍정적인 도덕 교육의 방향

3. 도덕 교육의 적정화 방안

3.1. 도덕 교육과정과 수업의 개선방향
3.2. 도덕 교과서 개선방향
3.3. 도덕과의 이상적인 평가 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고 칭하여져 왔던 우리 민족은 서양에서 중요시하는 가치관에 의한 시민윤리나, 개인주의와는 상반되는 측면의 도덕과 윤리를 삶의 으뜸으로 삼아왔다. 따라서 성품이 온화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어른을 공경하고 예와 인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것을 생활화하기 위해 힘써왔던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그러한 조상들의 덕에 부끄러울 만큼 비도덕적인 사회가 되어 버린 것 같다. 서구의 물결이 우리나라에 흘러들어오고, 특히 60년 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개방화에 따른 물질적인 풍요와는 모순되게 부정적인 측면들이 속속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빈곤과 성장속의 소외가 일어나게 되고 문화적 환경이 급변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가치관의 혼동과 개인주의, 물질만능의 사고, 비인간화 현상이 팽배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우리는 현재 너무나 패륜적이고 포악한 범죄, 무질서하고 이기적인 행동, 건전한 상식과 양식이 무력화되는 각종 비인간적 사고와 매스컴의 음란성 및 폭력성 등으로 노출된 도덕성의 문제를 너무나 쉽게 접하게 되었다. 또한 가정문화와 정서의 요인으로서 핵가족화와 생활방식의 변화, 산업구조의 다양화와 함께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로 인하여 가정교육이 사회의 영역으로 더욱 많은 부분 이양되게 되에 이에 따른 문제점들이 드러나게 되었다. 즉, 부모 권위의 약화, 기초질서 교육은 물론 효경과 예절 우선의 전통적인 미덕교육의 결여, 원만한 인간관계형성의 기회 부족, 가족 이기주의적 성향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남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생활 풍습이 퇴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우리는 신문이나 뉴스의 보도들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도덕성의 타락에 관한 문제들을 많이 접하게 된다. 얼마 전에 보도된 ‘조승희 총기난사사건’과 같은 것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으며 사실상 이러한 도덕, 윤리적인 문제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온다. 그러한 사건들이 하나 둘씩 터질 때마다 우리는 모두 우리사회의 도덕성이 땅에 떨어졌음을 개탄하며 그 비난의 화살을 교육으로 돌리곤 한다.
참고문헌
김성봉 「중학교 도덕교육 실태 분석: 한국 도덕 교육의 위상(Ⅱ)」 한국교육개발원. 1990.
윤현진. 「도덕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최현호. 「인권교육 개선을 위한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3호. 2005.
명지중학교 도덕 담당 이세경 선생님 인터뷰
이대부속중학교 도덕 담당 홍정근 선생님 인터뷰
명지중학교 3학년 7반 권민석 인터뷰 (이세경 선생님 지도)
명지중학교 3학년 7반 이재영 인터뷰 (이세경 선생님 지도)
명지중학교 3학년 남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