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

 1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1
 2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2
 3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3
 4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4
 5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5
 6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6
 7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7
 8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8
 9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9
 10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10
 11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11
 12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12
 13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13
 14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업지도안] 국어과 시(詩) 단원 본시 교수, 학습 지도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시(詩)공부, 절대로 하지 마라.

2.1. 문학교육의 특성
2.1.1. 문학 교육의 전반적 특성
2.1.2. 문학교육의 목표
2.1.3. 문학교육의 평가
2.1.4. 문학 교육에서 교수 학습의 일반적 유의점

2.2. 국어과 시(詩) 수업 지도안
2.2.1. 철학적 배경
2.2.2. 활용한 수업 이론
2.2.3. 반응 중심 관점의 시 교육
2.2.4. 본시 수업 지도안

2.3 수업 지도 후 논평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중 고등학교 시절을 돌이켜 보면, 국어 시간의 시 수업은 시를 감상했던 기억보다 시에 대한 해석을 암기했던 기억이 남아있다. 예컨대, 대부분의 사람들은 학창시절 ‘청산별곡’을 aaba구조라 외웠고, ‘진달래꽃’은 수미상관법이 쓰인 시라고 외웠다.
시 교육에서 위와 같은 ‘수사학’적인 시의 기법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그러한 교육이 시 교육 전체가 되고, 또한 그 방식도 ‘교사중심’의 일방적인 전달식 수업이 되다보니, 학생들은 어느새 시 앞에서 수동적인 패배자가 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이러한 교사중심의 일방적인 전달식 수업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시 교육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그렇게 찾아본 방안을 직접 시연하여 일방적인 주입식 수업만이 학생들에게 시를 가르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 아님을 증명해 보고자 한다. 한 번의 수업으로 학생들에게 어떠한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겠으나, 새로운 방식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수업시연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2. 시(詩)공부, 절대로 하지 마라.

2.1. 문학교육의 특성

2.1.1. 문학교육의 전반적 특성

 문학과목은 그것의 예술적 성격 때문에 문학적 감성과 창의성, 문학에 대한 지식 등이 함께 통합되어 교육되어야 한다.
문학능력은 문학적 소통력과 문학적 사고력, 문학지식, 문학에 대한 가치를 기반으로 통합되어 나타나고 이것을 사용하여 문학현상에 참여함으로써 문학문화를 형성한다.
문학영역의 교육내용인 문학지식은 학습자가 실제로 작품을 읽고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며, 문학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문학교육은 작품의 능동적 수용과, 결과에 대한 창조적 학습활동을 강조한다.
따라서 문학영역에서는 학습자에게 문학의 가치를 인식하고 그것을 삶과 통합하려는 태도를 기르며, 문학 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둔다.
참고문헌
1) 김은전, 『현대시 교육의 쟁점과 전망』, 월인, 2001.
2) 김창원, 『시 교육과 텍스트 해석』,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3) 선주원, 『시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2003.
4) 신헌재, 『아동문학교육론』, 범우사, 1998.
5) 윤여탁, 『시 교육론 : 시의 소통구조와 감상』, 태학사, 1996.
6) 이돈희, 『교육철학개론 : 교육행위의 철학적 분석』, 교육과학사, 1999.
7) 이삼형, 『국어교육연구의 반성과 전망 : 내용 ․ 전망』, 역락, 2003.
8) 이삼형, 『국어교육연구의 반성과 전망 : 이해 ․ 표현』, 역락, 2003.
9) 이성은, 『국어과 열린교육』, 교육과학사, 1997.
10) 정호표, 『현대교육철학』, 교육과학사, 2002.
11) 최현섭, 『국어교육학개론』, 상지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