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당뇨병 케이스

 1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
 2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2
 3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3
 4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4
 5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5
 6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6
 7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7
 8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8
 9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9
 10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0
 11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1
 12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2
 13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3
 14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4
 15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5
 16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6
 17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7
 18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8
 19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19
 20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당뇨병 케이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서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문헌고찰
1> 당뇨병의 정의
2> 당뇨병의 원인
* 제1형 당뇨병
* 제2형 당뇨병
* 기타 특이 형태의 당뇨병
* 임신성 당뇨병
* 내당능 장애와 공복 혈당 장애
3> 당뇨병의 병태생리
* 제1형 당뇨병
* 제2형 당뇨병
4> 당뇨병의 증상 및 징후와 치료
* 당뇨병의 일반적인 증상
*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
*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
5> 내과적 중재
6> 외과적 중재

Ⅲ.연구기간 및 방법

Ⅳ.간호과정
간호사정

Ⅴ.결론
본문내용
Ⅱ.문헌고찰
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고혈당이 특징인 대사 장애로서 인슐린의 수요와 공급이 서로 맞지 않는 불균형 상태이다. 즉 인슐린의 결핍에 의해 지방 및 단백질 대사에 이상을 동반하는 혈당 상승이 특징인 당질 대사 장애이다. 다시 말하면 당뇨병의 근원적 결함은 절대적 혹은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과 포도당 자극에 대한 인슐린 분비의 불일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슐린 부족은 필요한 양만큼 보충해 줄 수 있지만 포도당 농도와 인슐린 농도를 일치 시켜 주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애는 미세혈관, 대혈관 및 신경 병변을 동반하고 있다.

2> 당뇨병의 원인
* 제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이 결핍되어 발생하는데 여기에는 면역매개형(type1a)과 특발성(type 1b)당뇨병이 있다. 특발성 당뇨병은 자가면역기전의 증거가 없이 인슐린 결핍 및 케톤산증이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로 원인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여기서는 면역매개형의 병인론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1)제1형 당뇨병의 유전적 소인
제1형 당뇨병에 유전적 소인이 있음은 일란성 쌍생아의 질병발생 합치율이 25~30%인데 비해 이란성 쌍생아에서는 5~10%에 불과한 사실에서 증명된다. 또한 미국 백인에게서 제1형 당뇨병의 전체적 위험은 0.2~0.4%이지만, 제1형 당뇨병의 가족에서의 위험은 5%이며, 어머니가 제1형 당뇨병이면 2~3%, 아버지가 제1형 당뇨병이면 5~6%의 위험을 가진다.
주요 질병유전자는 제6번 염색체의 단완에 있는 주요 조직적합성 유전자(HLA)이며,4~5개의 질병감수성 유전자가 더 있으나 그 기여도는 낮다. HLA는 항원의 인지 등 면역반응의 조절에 관계하고 있다. 제1형 당뇨병에서 HLA DR3 및 DR4가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DR2를 가지면 그 발생이 감소한다.
DR3, DR4를 다 가지면 병의 위험은 훨씬 더 증가한다.(미국에서 제1형 당뇨병의 30~40%는 DR3/DR4 동형 접합체이나, 일반인에서의 동형접합체 빈도는 3%에 불과하다).코카시안 제1형 IDDM의 95%는 DR3, DR4 또는 DR3/DR4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78%의 소아 IDDM만 DR3 내지 DR4를 가지며, DR3/DR4는 10%에 불과하다.DR와 극히 가까운 유전자좌에 있어 연쇄 불균형 상태에 있는 DQ도 질병 감수성을 공여하며, DR3와 연계된 DQB1*0302, 그리고 DQB1*0301등이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DQB1 57번 위치의 aspartic acid의 존재가 감수성 감소와, DQA1 52번 위치의 아르기닌의 존재가 감수성증가와 연관된 것으로 밝혀져 있다.

2)제1형 당뇨병의 환경적 요인
제1형 당뇨병의 발생이 과거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고, 지역별,인종별 차이를 보이며, 일란성 쌍생아에게 일치율이 낮다는 점은 환경적 요인을 시사하는 증거들이다. NOD생쥐 등과 같이 유전적 형질이 뚜렸한 제1형 당뇨병의 질병모델에서도 환경요인이 기여한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환경요인으로는 영아기에 모유 대신 우유를 먹이는 것, 각종 바이러스의 감염, 환경 중의 독소들이 해당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上,下(ll), 현문사, 2001
김응진 외, 당뇨병학, 고려의학,1998


하고 싶은 말
당뇨병에 관한 케이스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