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

 1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
 2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2
 3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3
 4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4
 5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5
 6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6
 7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7
 8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8
 9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9
 10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0
 11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1
 12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2
 13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3
 14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4
 15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5
 16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6
 17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7
 18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8
 19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19
 20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복에 대한 이해] 한복에 대한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역사속의 한복
1. 한복의 의미와 역사
2. 한복의 시대별 변천 과정 및 특징


Ⅱ. 상품으로서의 한복
1. 한복의 특징 및 종류


Ⅲ. 실생활의 한복
1. 한복 입는 방법
2. 한복의 관리 방법


Ⅳ. 현황 및 향후과제
1. 현황 및 문제점
2. 향후전망 및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한복의 의미
한복이란 간단히 말해서 한국 고유의 옷을 뜻한다.
짧은 저고리와 긴치마의 여자옷, 저고리와 넓은 바지의 남자옷을 말한다.
한복은 쭉 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룬 우리나라의 전통의상이다.
여성은 짧은 저고리와 넉넉한 치마로 우아한 멋을 풍겼으며 남성은 바지저고리를 기본으로 조끼와 마고자로 멋을 냈다.
백의민족답게 기본색은 흰색이었으며 계절에 따라, 신분에 따라 입는 예법이나 재, 색상이 모두 달랐다. 결혼과 같은 특별한 예식에는 평민들도 귀족이 입는 화려한빛깔의 옷과 장신구로 한껏 멋을 냈다. 최근 국내에는 한복의 장점과 실용성을가미한 개량 한복이 자리잡아가고 있다.

2) 한복의 유래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한복의 흔적을 발견한 것은 고구려 시대의 왕과 귀족들의 무덤 속벽화에서 였다. 고구려는 중국 당나라 시대의 의상과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그후 우리나라의 왕과 몽골족 공주와의 혼사로 중국 용안시대의 옷이우리나라에 들어왔고, 그것이 한복의 시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후 오랜동안 한복은 시대에 따라 저고리 길이, 소매통 넓이, 치마폭이약간씩 달라질 뿐 큰 변화는 없었다.
한복은 둥글고, 조용하며, 한국의 얼을 담고 있다.
실크나 면, 모시로 주로 만들어졌으며, 고름의 색상이나 소매통 색상이 여자의신분을 나타냈다. 또한 나이와 사회적 지위, 게절에 따라 색상에 변화를 줄뿐옷의 모양은 시골 아낙이나 높은 분의 부인이나 모두 똑같았다.
18m의 원단에도 불구하고 가볍고, 입기 쉬운 점이 한복의 장점이라고할 수 있다.

3) 한복의 역사
고조선시대에 이미 초의생활(草衣生活)에서 벗어나 칡과 삼으로 짠 옷감을사용하고, 전잠(田蠶)과 직조의 기예가 늘어감에 따라 의류문화에 진전을 보였다. 그 후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에는 옛 사기(史記)나고분 벽화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대체로 유 ·고(袴)와 상(裳) ·포(袍)를 중심으로 한 복장이었으며, 여기에 관모(冠帽)·대(帶)·화(靴) 또는 이(履)가 첨부되었다. 유는 저고리로서 상체의 옷이고 고는바지, 상은 치마로서 하체의옷이며, 여기에 머리에는 관모를 쓰고 허리에는 대를 띠며, 발에는 화 또는이를 신어 포피(包被)로서의 의복의 형태를 갖추는 동시에, 그위에두루마기로서의 포를 더함으로써 한대성(寒帶性) 의복 곧 북방 호복(胡服)계통의 의복을 나타낸다.
이후 중국과 교류가 잦아지면서 중국복식의 영향을 받아 좌임이 우임(右)으로변하고 소매도 넓어지는데[寬袖], 선은 오늘날에도 회장 ·끝동 등으로남아있다. 이 저고리를 신라에서는 위해(尉解)라고 일컬었는데, 오늘날 저고리를 우티 ·우치라고 하는 방언(方言)도 이에서 연유된 것이라고 할 수있으며, 저고리라는 표현은 조선 세종(世宗) 2년(1420) 원경왕후(元敬王后) 선전의(選奠儀)에 ‘赤古里’라는 말로 처음 나온다.
고(바지)는 용도에 따라 폭과 길이에 변화가 있었는데, 양복바지와 같이폭이 좁은 궁고(窮袴:細袴)와 지금 한복 바지 같은 대구고(大口袴:또는 寬袴)가 있었고, 오늘날의 잠방이와 같은 가랑이가 짧은 곤이 있었다.
궁고는 곤과 더불어 민층의 하의(下衣)였고, 대구고는 상류층의 하의였는데,발목을 대님으로 묶기도 하였다. 이 바지를 신라에서는 가반(柯半) 또는가배(柯背)라 하였는데, 지금 우리말의 고의 ·고쟁이도 이에서 어원을 찾을수 있으며, 바지라는 표현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정인지(鄭麟趾)가 ‘把持’라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이 호칭은 이미 널리 사용되었으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한복 제작업체의 제작 현황 및 패턴연구-전통 한복 여자 저고리를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ㆍ 이영임(Lee Young-Yim), 소황옥(Soh Hwang-Oak)

여대생의 한복과 개량한복 착용에 대한 의식
충청전문대학학생지도연구소 ㆍ 양경애 이주영

패션시대 한복 마케팅 강화 전략
한복문화학회 ㆍ 변명식

한복과 한옥의 조형미 연구
한복문화학회 ㆍ 김영자

한복산업의 실태와 전망
한복문화학회 ㆍ 유순례, 이주원

한복착용에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남자 한복을 중심으로
동래여자전문대학학도호국단 ㆍ 박영희

생활한복에 관한 고찰 :생활한복의 변천과 강릉지역 대학생 의식구조 조사
관동대학교사범대학가정교육과 ㆍ 양성은

한복 및 한복의 선을 이용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생활과학대학생활과학연구소 ㆍ 강혜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