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

 1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
 2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2
 3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3
 4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4
 5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5
 6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6
 7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7
 8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8
 9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9
 10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0
 11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1
 12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2
 13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3
 14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4
 15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5
 16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식품분석] 생마늘과 흑마늘이 항산화 효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Comet Assay (Single cell gel electorphoresis assay : SCGE)

1.1. 소개 및 장점

1.2. 원리 및 의의

1.3. 동물세포배양

1.4. 실험과정

1.5. 실험결과

1.6. 실험토의

1.7. 결론

2. 단백질 정량

2.1. Bradford Assay

2.2. BCA Assay

3. DPPH Assay

3.1. 소개

3.2. 원리 및 의의

3.3. 실험과정

3.4. 실험결과

3.5. 실험토의

3.6.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Comet Assay (Single cell gel electorphoresis assay : SCGE)
1.1. 소개 및 장점
1.1.1. 단세포전기영동법은 방사선을 포함한 암유발원이나 돌연변이 유발원에 의한 DNA손상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일명 Comet assay라고 불린다. 이 방법은 1984년 Ostling과 Johanson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Singh 에 의해 DNA손상을 보다 민감하게 평가하는 방법으로 개량되었다.
1.1.2. 방사선에 의해 절단된 DNA가닥은 음전하를 띠며 절단된 크기에 따라 gel electrophoresis상에서 양극(+)방향으로 이동하여 head와 tail로 구성된 혜성(comet)모양으로 관찰되고 손상을 받지 않은 정상적인 세포는 핵체로 생각되는 원형의 양상을 나타낸다. SCGE는 Nucleoid sedimentation 같은 다른 방법들을 적용하여 alkaline상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단일 가닥 DNA손상을 보다 명확하게 만들어 주었고 실제로 nucleoid sedimentation 이나 alkaline elution만큼 민감한 방법으로 소수의 strand breakage를 나타내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제까지 연구된 바로는 pH가 중성인 경우는 double strand breakage를, alkali인 경우는 single strand breakage 의 형성을 감지 할 수 있는데 많은 물질들이 5-2000배정도 double strand breakage보다는 single strand breakage를 유발하기 때문에 DNA손상을 감지하는데 alkali 의 경우가 더욱 민감한 방법이라는 보고가 있으나 실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1.1.3. 실험과정은 data 분석까지 하루에 끝낼 수 있어 간단하며, 손상을 단일세포수준에서 정량이 가능하므로 적은 sample의 양으로도 실험이 가능하며 형광염색에 의해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다는 여러 장점이 있다. Comet assay는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세포수준에서 data를 얻을 수 있어 DNA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해 subpopulation에서 저항성이나 민감도를 측정해 볼 수 있고, 적은 수의 세포에서 실험가능하고 DNA손상을 감지하는데 민감하여 109dalton 당 0.1 DNA breakage를 감지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Cell cycle position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asynchronous로 배양된 세포에 적용가능하고 세포주기 stage가 동일할 필요가 없는 primary 세포에서도 적용가능하며 장비면 에서도 다른 short term test에 요구되는 것보다 훨씬 적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1.2. 원리 및 의의
참고문헌
1. 참고문헌
1.1. http://www.genehunters.co.kr/Training/07.htm
1.2. DNA damage와 Apoptosis를 정량화하는 단세포전기영동법. 류재천, 김현주 외 2명. (1997. 7. 1)
1.3.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78&article_id=0000034320§ion_id=0&menu_id=0
1.4.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205&eid=UfYVSLdFKQeG8XtuQdG3fxCdZuU5DOmr&qb=cGllcmNlIGFzc2F5
1.5. http://www.genehunters.co.kr/Training/03_1_2.htm
1.6.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204&eid=9P7QO9Rz43HH6ZWf/ErLcH4m3MHCQbzL&qb=ZHBwaA
1.7. DHHP법에의한 항산화 활성평가. 단국대. 이동진, 이지영. 한국작물학회(2004)
1.8. 생물학연구정보센터 (1.8. http://bric.postech.ac.kr1.8.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