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

 1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1
 2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2
 3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3
 4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4
 5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5
 6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6
 7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7
 8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엘니뇨(엘리뇨)] 엘니뇨(엘리뇨)의 원인, 영향과 엘니뇨(엘리뇨)의 피해 사례 및 향후 엘니뇨(엘리뇨)에 대한 대책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엘니뇨와 라니냐

Ⅲ. 엘니뇨의 원인

Ⅳ. 엘니뇨의 영향

Ⅴ. 엘니뇨에 의한 피해사례
1. 동아시아의 기상이변과 엘니뇨
2. 엘니뇨로 인한 세계의 기상이변
3. 우리나라의 피해사례
4. 지구촌 대형산불로 홍역

Ⅵ. 엘리뇨 대책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거에 엘리뇨는 확률론적인 현상으로 파악되었으나, 이 견해는 점차 결정론적으로 바뀌고 있다. 엘리뇨가 결정론적인 현상이라면 예측 가능성은 매우높다. 엘리뇨가 결정론적 현상이라는 증거는 해수면 온도 변동에서 보다는 수온약층의 변동에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엘리뇨 지수와 적도 지방의 해수온도 편차의 지연 상관 분포를 살펴보면, 엘리뇨 최성기의 18개월전 해수면온도 변동과는 관련성이 적지만 열대 서태평양 하층 (subsurface)의 해수온도와는 큰 상관성이 있다. 이는 엘리뇨가 결정론적인 현상으로 예측 가능함을 암시하며 또한 해양 하층의 변동이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엘리뇨를 예측하는 모형은 통계 모형 (CC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중간 단계 대기-해양 접합 모형 (Intermediate coupled ocean-atmosphere model), 혼합 모형 (Hybrid Coupled model), 대기-해양 대순환 모형 (CGCM;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등이 있다. 이들 모형중 Zebiak and Cane(1987)에 의하여 개발된 중간 단계 대기-해양 접합 모형은 1986-87년 엘리뇨를 성공적으로 예측함으로써, 엘리뇨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모형으로 최근까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후 강력한 엘리뇨를 예측하지 못하여 모형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중간 단계 접합 모형이 올해 엘리뇨 예측에 실패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엘리뇨를 유발한 해양의 메모리가 모형의 초기상태 (initial condition)에 적절히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즉 중간 단계 접합 모형을 이용한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는 모형의 초기 상태를 바람의 응력 자료만을 이용하여 얻기 때문에 이로부터 유도되는 해양의 하층 변동이 제대로 모의되지 않을 경우 예측에 있어서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1990년 전까지 예측 능력이 저조했던 CGCM을 이용한 엘리뇨 예측이 올해를 포함한 최근의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 높은 정확성을 보임으로써 예측에 적극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CGCM의 예측 능력이 향상된 것은 모형 자체의 개선보다는 축적된 해양의 관측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자료 동화 (assimilation)에 기인한 것으로 인식된다. 즉 엘리뇨 예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인 해양의 열용량 (해양 하층의 해수온도 변동)을 관측으로부터 입수하여 이를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관측에 나타난 해양의 메모리를 모형에 인식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모형의 예측능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엘니뇨 예측과 관련된 국내의 연구는 중간 단계 대기-해양 접합 모형을 이용한 연구로써 서울대 대기과학과의 강인식 교수 연구실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이 모형은 Zebiak and Cane을 따라서 개발되었다. 모형의 기본 구조는 대기와 해양이 각각 1층의 경압 모드만을 모의하는 모형이며, 해수면 온도 변동은 수평 이류와 연직 이류 (용승류)로부터 구해진다.
참고문헌
◎ 김종달(1998) / 지구온난화문제와 에너지 혁명 / 경북대 에너지 환경경제연구소
◎ 김연옥(1985) / 한국의 기후와 역사 /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 국립환경연구원(1992) / 지구환경연구를 위한 기초 조사(I)
◎ 국립환경연구원(1993) / 기후변화 협약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이산화탄소를 중심으로)
◎ 대기환경연구회(2000) / 대기환경개론 / 신광문화사
◎ 유헌재(2004) / 기후변화협약에 있어서 한국산업의 대응방안
◎ 팀플래너리(2007) / 지구온난화 이야기(We are the weather makers) / 지식의 풍경
◎ 환경부(1995) / 지구환경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오존층 감시 기반 기술)
◎ 옥치상(1996) / 새 인간과 환경 지구문화사
◎ 한화진(2002) / 선진 주요국가의 기후 변화대책 및 우리나라의 과제, 대책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