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

 1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1
 2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2
 3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3
 4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4
 5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5
 6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6
 7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7
 8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8
 9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9
 10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10
 11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11
 12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애인심리발달, 장애인심리검사] 장애인심리와 장애인심리발달 및 장애인심리검사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회 현상 속에서의 장애인 심리
1. 소외감과 일상생활의 활동
2. 성과 소외감
3. 사회적 배척과 개인적 소외감
4. 직업을 갖지 못하는 데서 오는 좌절감
5.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 -승차거부-
6. 일반학교를 다닐 때의 어려움

Ⅱ. 장애인 심리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장애의 사회 심리적 요인
2. 부모의 양육 태도

Ⅲ. 청각장애의 심리적 영향

Ⅳ. 청각장애인의 심리적 특성
1. 언어발달
2. 인지능력
3. 학업성취
4) 사회적 적응 (주변사회와의 상호작용)

Ⅴ. 시각장애의 심리적 특성

Ⅵ. 정서장애 심리 검사도구

Ⅶ. 청각장애 심리 검사도구

Ⅷ. 시각장애 심리 검사도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사회 현상 속에서의 장애인 심리

1. 소외감과 일상생활의 활동

장애인들이 흔히 겪게 되는 대변, 소변, 그리고 성기능 실패는 심각한 소외 경험을 일으킬 수 있다. 한 아동이 스스로 신발끈을 매었을 때, 단추나 지퍼를 잠궜을 때, 혹은 혼자서 스테이크를 잘라먹었을 때, 얼마나 의기양양했던가를 기억해 보라. 이런 단순한 기능들을 상실했을 때, 장애인들이 받게 될 충격이 대단히 클 것임을 짐작하고도 남을 것이다. 한 일화의 예를 들어보자.
어떤 장애인은 더 이상 자신이 할 수 없는 단순한 활동에 집착하는 느낌을 보여준다. 하루는 계단 아래 모서리에 한 젊은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환자와 나란히 앉아서, 그를 바라보고 있는데, 장애인이 다음과 같이 소리쳤다.
“저거 보여요?”
“무엇을 말인가?“ 라고 물었다.
“방금 계단을 내려온 저기 두 아가씨 말이예요?“ 장애인이 다시 물었다.
“아니, 음 내가 관심 있게 보지 않은 것 같군“ 하고 그에게 말했다.
“당신이 그것을 보았어야만 했는데, 참 보기 아름다웠는데,“ 라며 생각에 잠기듯이 말했다. “아가씨들은 팔에 책을 끼고, 마치 계단을 무너뜨릴 것처럼 미친듯이 이야기하고 있었어요.“
“그래서, 어쨌는데?“ 다시 물었다.
“음, 무엇보다 멋진 것은 그들의 발이 계단의 모서리만 살짝 디디면서 내려오고, 게다가 거의 계단을 보지도 않아요. 마치 춤추듯이 살포시 웃으며 걷고 있어요.“ 라고 대답했다.
“마치 비행하듯이 말이지,“
“예, 바로 그거예요.“ “그리고 나는 말이예요, 계단을 내려온다고 상상하면, 한걸음 한걸음씩, 아주 천천히, 내 발을 주시하면서, 마치 모든 것에 신경을 쓰듯이, 넘어지지 않기 위해 난간에 매달려야 해요.“ 라고 말했다.
“근데 저 두 아가씨는 묘기에 가까운 걸음을 걸으면서도 아무 생각이 없어요,“ 라고 말했다. 또 “한 마리의 곤충같아요,“ 라고 중얼거렸다.
“음, 그래,“ “진짜 그러네,“ 하면서 맞장구를 쳤다.

위의 일화적 사건에서, 그 장애인은 장애 전에는 아주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었던 자신의
참고문헌
김정열, 장애인 인권과 사회통합
김승국(1989), 사회성숙도 검사, 중앙적성출판사
김종무, 시각장애학생의 교수-학습지도방법
박인기(2000)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 수화강사양성반, 청음회관
박찬수, 신기명, 안세근(1998), 학습장애 치료교육, 서울, 학지사
이규식외 12人, 청각장아애교육, 학지사
양옥경(2001), 지역사회 정신건강, 나남출판
이현수(1994), 임상심리학, 서울, 전영사
이영호(2006),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학지사
전용오, 장애인복지론, 학현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저(2003), 특수아동의 심리,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