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

 1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1
 2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2
 3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3
 4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4
 5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5
 6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6
 7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7
 8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8
 9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9
 10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10
 11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자원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물문제, 댐건설로 살펴본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과 향후 수자원 종합대책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수자원의 종류 및 성상
1. 천수
2. 지표수 (Surface Water)
1) 하천수
2) 호수 및 저수지
3) 지하수

Ⅲ. 한국의 물 문제

Ⅳ. 한국의 댐건설

Ⅴ. 수자원 부문의 여건 전망
1. 제한된 수자원 이용에 대한 경쟁 심화
2. 홍수와 가뭄에 대한 사회기반시설의 재해 방어능력 감소
3.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 등 다양한 수자원 정책 추진
4. 하천환경에 대한 사회적 중요도 상승
5. 수자원 관리에 대한 주민참여의 증대와 과학화
6. 남북공유하천의 평화적 공동이용 추진

Ⅵ. 수자원 종합대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란 미래 세대들의 수자원 수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수자원 수요를 충족시키는 수자원 관리로 정의할 수 있다.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논쟁에서 강조되는 주요 이념은 사전 예방적 환경관리, 자연환경에 대한 높은 가치의 부여, 형평성의 추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 미래 세대의 수자원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인 분석모형이 구축되어야 하고, 이를 기초로 미래 세대와 현 세대간 수자원 이용의 공평한 배분이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한 국가내 지역간에도 이와 동일한 배분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수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아래 사전 예방적 관리 뿐 아니라 수자원의 통합관리 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수자원 관리는 개별관리와 통합관리로 나눌 수 있고, 통합관리는 다시 발전단계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수량과 수질의 통합으로서 수자원 관리통합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고, 둘째는 물과 토지자원 및 기타 환경자원과의 통합관리이며, 셋째는 가장 바람직한 수자원 관리방안으로 물과 사회경제적 개발과의 통합이다. 대부분의 수자원 관리 선진국에서는 두 번째 단계에 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시도에 대한 최초의 관심은 뉴질랜드의 토양보전 및 하천관리법(1941)과 캐나다의 온타리오(Ontario) 유역보전청(1946)에서와 같이 침식과 같은 토양의 훼손방지에서 시작되었다. 미국의 TVA (Tennessee Valley Authorities)에서도 홍수방지, 수력발전, 수운개발, 등을 포함해 유역관리 등과 같은 더 포괄적인 관리의 통합에 관심을 두었고, 영국에서 1970년대에 창설된 유역기관도 이와 같은 통합의 둘째 단계에 관심을 두었다. 일본의 경우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수자원 관리와 경제사회개발과의 연계를 강조하였고, 폴란드에서는 국가경제계획에 수자원 계획을
참고문헌
- 건설교통부(2000),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1-2020)
- 새정치국민회의환경위원회, 21C 물관리정책
- 옥치상(1999), 수질 및 수자원 관리, 대학서림
- 이태교, 물․환경․인간, 법문사
- 조용완(1997), 우리나라의 물 공급 정책: 우리나라 수자원 관리를 현황과 전망, 경실련 환경개발센터, 21세기 물 관리 정책의 방향
- 전병호, 신현석, 이재철, 윤용남(1993), 화천댐의 홍수량 및 수위에 미치는 평화댐의 영향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제 26권, 제1호
- 최석범(2003), 수자원정책현안과 문제점
- 홍창선외(2002), 수문학
- 한국 수자원 공사, 세계물의 날 자료
- 한국수자원공사(1999), 21세기의 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