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

 1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
 2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2
 3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3
 4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4
 5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5
 6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6
 7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7
 8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8
 9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9
 10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0
 11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1
 12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2
 13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3
 14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4
 15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5
 16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6
 17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7
 18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8
 19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분화, 특징과 전라도, 경기도, 제주도사투리(방언)의 특징 및 사투리(방언)의 향후 연구방안 모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투리(방언)의 사전적 정의

Ⅱ. 사투리(방언) 연구 동향

Ⅲ. 사투리(방언) 분화와 연구

Ⅳ. 사투리(방언)의 종결어미 특징
1. 서술어미의 특징
2. 의문어미의 특징

Ⅴ. 전라도 사투리(방언)의 특징
1. 같은 어원
2. 다른 어원
3. 중앙어에만 나타나는 토씨

Ⅵ. 전라남도 사투리(방언)의 특징
1. 음운적 특징
1) 구개음화
2) 된소리되기
3) 거센소리되기
4) ‘ᄒ’의 탈락
5) ‘ᄂ’의 탈락
2. 모음의 특징
1) 움라우트
2) 음절 축약
3) 단모음화
4) 길이
3. 낱말 형성
1) 명사 파생 접미사
2) 사동 또는 강세 접미사
3) 형용사 파생 접미사
4. 부사 파생 접미사
5. 문법
6. 말하기
1) ꡐ잉ꡑ
2) 웨

Ⅶ. 경기도 사투리(방언)의 특징
1. 음운론적 특성
1) 음운체계
2) 음운현상
2. 문법론적 특성
3. 어휘의 의미적 특성

Ⅷ. 제주도 사투리(방언)의 특징

Ⅸ. 사투리(방언)의 연구방안 모색 및 사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사투리(방언)의 사전적 정의

표준어의 사전적 정의는 교육적, 문화적인 편의를 위하여 한 나라의 표준이 되게 정한 말로써, 우리나라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하고 있다. 그에 비해 사투리는 표준어가 아닌 어느 지역에서 쓰는 말로 정의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표준어에 비해 개념적인 정의 자체에서도 상당히 격하시키고 있다.
즉, 표준어의 정의에서 쓰이고 있는 ꡐ교양 있는 사람들ꡑ 의 개념적 범주도 모호할뿐더러, 사투리를 쓰는 사람들은 모두 ꡐ교양 없는 사람들ꡑ 이라는 인식을 역으로 유추하게 하는 언어적인 결함도 내포하고 있다. 게다가 ꡐ서울 이외의 지역ꡑ 이 ꡐ지방ꡑ 이라는 단순한 개념으로 치환되어 지방 사람들이 쓰는 말로서 좁게 인식되고 있다는 것에도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다.

Ⅱ. 사투리(방언) 연구 동향

언어 사용 연구에 있어서는 일단 민현식(1999)의 연구가 종합적이고 기존의 연구들도 잘 소개하고 있다. 또 여러 학회지들을 통해서 최근의 언어 경향이 연구되고 언어의 여러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사투리에 대한 연구는 종합적인 연구 속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지는 것 외에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언론에서의 문제제기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편 표준어에 관해서는 사회학자인 피에르 부르디 외에 여러 학자들이 자본주의 체제와 민족국가의 내적 통합을 위한 상징적인 것으로 탁월하게 분석한 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분석이 해방 이후에는 어느 정도 적실성이 있지만, 일제 시대에 민족주의를 내세운 엘리트들을 중심으로 의식적으로 표준어가 추진되었기 때문에 조금은 다른 면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조태린, 2004).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ꡐ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ꡑ이라는 표준어의 명제를 홍기문 등으로 대표되는 일부의 비판이 있었지만 당위적으로 받아들였다. 또 이익섭(1993)의 표준어 기능에 대한 연구는 표준어 우월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 사투리와 같은 방언 연구에 있어서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
참고문헌
권재일(1996) / 경북방언의 인용구문 연구, 서울대인문논집
김영태 등(1999) / 언어와 언어생활, 백산서당
성낙수저 / 우리말 방언학, 한국문화사
윤명희 외(2006) / 경상도 우리 탯말, 소금나무
오창명(1995) / 제주도방언에 대한 학술조사의 성과와 반성, 백록어문 통권 제11권
이의도 / 오늘의 국어 무엇이 문제인가, 어문각
최전승(2004) /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역락
이익섭 지음(2000), 방언학, 민음사
이승재(1983) / 전북․경기․충북방언의 현지조사 과정과 반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기갑 외(1997) / 전남방언사전, 전라남도
이주행 지음(2005) / 한국어 사회 방언과 지역 방언의 이해, 한국문화사
천시권(1971) / 내고장의 방언, 신현실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7~1993) / 한국방언자료집 경기도편, 강원도편, 충청북도편, 충청남도편, 경상북도편, 경상남도편, 전라북도편, 전라남도편, 제주도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