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

 1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1
 2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2
 3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3
 4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4
 5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5
 6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6
 7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7
 8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8
 9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9
 10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10
 11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11
 12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12
 13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론] 이인직 혈의누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들어가는 글
2. 작가 생애
3. 시대적 배경

Ⅱ. 본론
1. 신소설의 개념과 특징
1) 개념
2) 특징
3) 고전소설과 신소설의 비교

2. 『혈의 누』 줄거리

3. 『혈의 누』에 나타난 근대의식
1) 반봉건의식
2) 자강의식과 개화 ․ 계몽의지
3) 여성성과 자유연애

4. 친일(親日)인가, 용일(用日)인가.
1) 실용적 관점에서의 친일(親日)
2) 『혈의 누』에 나타난 반일(反日)의식

5. 신소설로서 『혈의 누』의 한계
1) 구체적 전략의 부재
2) 결말의 미종결
3) 리얼리티의 약화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들어가는 글

본 발표조는 최초로 신소설의 장르를 열었다고 평가받는 이인직(李人稙)의 소설작품 『혈의 누』를 분석하였다. 흔히 이인직은 개화기 친일파 지식인으로 분류되어, 그의 작품들 역시 ‘친일(親日)’의 틀에 매어 적절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신동욱, 「신소설과 신문화 수용」, 『한국 현대 문학론』, 박영사, 1972.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표문에서는 작품 외적인 요소와 작품 내적인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개화 지식인으로서 이인직의 참모습을 가감 없이 드러냄과 동시에 그의 계몽의식이 소설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혈의 누』의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를 밝혀보고자 한다.

2. 작가 생애

이인직(李人稙)의 생애에 대해서는 아직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이 다수이며 그는 1862년 음력 7월 27일 경기도 음죽군 거문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나이 39세인 1900년 2월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파견되며 그 곳에서 일본인 부인을 얻고, 1901년부터 미야꼬 신문사의 견습생으로 있었던 그는 동신문에 「몽중방어(夢中放語)」, 「조선인(朝鮮人) 신년하사(新年賀詞)」등의 문학작품 원고를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1903년 유학생 소환공문이 도달했지만 이인직은 소환명령에 따르지 않고 일본에 기거하며 동경정치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다지리 히로유키, 『이인직 연구』, 국학자료원, 2006, 30면.
. 『미야꼬신문』에 「한국신문 창설취지서(韓國新聞 創設趣旨書)」등의 한국관련 잡보 등을 많이 낸다.
그리고 1904년, 러일 전쟁의 한어통역으로 임명되어 한국으로 돌아오게 된다. 동년 5월, 통역에서 해고된 그는 국민신보사를 설립하여 신문을 만들려던 계획이었지만, 실패하고 『일진회』의 송병준에 의해 1906년 1월 6일에 창간된 『국민신보』의 주필이 된다 다지리 히로유키, 위의 책, 31면.
. 그러나 그는 그곳도 그만두고, 『천도교』의 기관지인 만세보사로 가 『만세보』를 창간함과 동시에 그는 주필의 자리를 맡게 된다. 그리고 『만세보』에 7월 20일부터 10월 10일까지 50회에 걸쳐 『혈의 누』를, 10월 14일부터 다음해 5월 31일 까지는 134회에 걸쳐 『귀의 성』을 연재했다. 또한 이인직은 『제국신문』에 1907년 『혈의 누』하편을 11회에 걸쳐 연재했지만 곧 중단하였다. 1916년 5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다.
참고문헌
권영민, 「신소설과 조선 보호론의 실체」, 『한국개화기소설연구』, 서울: 태학사, 2000.
권영민, 『현대소설의 구조와 미학』, 태학사, 2005.
김명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