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

 1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
 2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2
 3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3
 4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4
 5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5
 6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6
 7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7
 8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8
 9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9
 10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0
 11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1
 12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2
 13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3
 14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4
 15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5
 16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6
 17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조기유학의 현황 및 사회적 인식
1.1. 조기유학의 현황
1.2. 조기유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

2. 조기유학의 개념 및 고찰
2.1. 조기유학의 개념
2.2. 조기유학의 변천

3. 조기유학의 원인
3.1. 개인적 차원
3.2. 사회적 차원

4. 조기유학에 대한 우리 사회 부정적 인식 및 이에 대한 반론
4.1. 조기유학에 대한 우리 사회의 부정적 인식
4.1.1. 조기유학에 대한 언론의 보도 태도
4.1.1. 조기유학에 대한 정치인들의 인식
4.2. 조기유학의 긍정적 측면
4.2.1. 개인의 권리로서의 조기유학
4.2.2. 개인의 선택적 투자로서의 조기유학
4.2.3. 한국 교육시장의 변화의 동인으로서의 조기유학
4.2.4. 세계화시대의 전략으로서의 조기유학
5. 요약 및 전망




본문내용
1. 조기유학의 현황 및 사회적 인식

1.1. 조기유학의 현황
한국의 경제규모가 세계 10위권에 진입하고 이러한 경제발전의 영향으로 국민들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더 나은 교육에 대한 국민적 욕구가 최근 들어 눈에 띄게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조기유학생 수는 2001년도에는 7,944명이던 것이 2003년에는 10,498명, 2005년에는 24,000명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고 2006년에는 사상 최고치인 29,511명에 육박하였다. “영어 배울 수 있으면 세계 어디라도 간다”. 『중앙일보』,제 1면, 2007. 10. 8.
영어권이나 유럽 일부 국가에 편중되었던 유학패턴도 이제는 태국, 필리핀, 인도 등 동남아 국가들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까지 확대되었고 최근에는 중국의 국력신장에 힘입어 중국, 대만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국가들이 이처럼 새롭게 교육의 메카로 떠오르는 이유는 교육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또한 그런 입장을 현실적인 정책을 통해서 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동남아 국가 중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선호도를 갖고 있는 태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비록 태국이 우리나라보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뒤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태국의 ‘방콕 아메리칸 스쿨’같은 국제학교는 모든 수업을 영어로 하고 있으며 수업료도 저렴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많은 한국인들에게는 아직도 태국은 저렴한 물가와 많은 볼거리로 신혼여행 때나 휴가 기간에 잠시 부담 없이 갔다 올 수 있는 여행지로만 인식되고 있지만 자녀의 교육에 대해서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아시아 최대의 조기유학 대상지로 손꼽히고 있다. 태국은 자국 학생들의 영미권 조기유학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10여 년 전부터 국제학교 설립을 완화했다. 지금은 동남아시아에서는 가장 많은 약 100여개의 영미식 국제학교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교육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한국 학생유치에 뛰어들고 있다. 2002년 5.3%에 불과했던 한국 학생들의 동남아 조기유학 비중이 2006년에는 14.6%까지 급증한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고 할 수 있겠다. “이유 있는 교육 유목민”.『중앙일보』,제 6면, 2007. 10. 9.

1

참고문헌
김흥주. “자비유학규제 완화와 조기유학문제에 대한 논란”. 『한국교육평론 2000』,2001.
김미란(역). 가리야 다케히코. 『교육개혁의 환상』. 서울 : 북코리아, 2004.
문승태. 『청소년의 진로탐색과 결정』. 서울 : 학술진흥정보(주), 2006.
박종환. 『미국대학의 법칙』. 서울 : 랜덤하우스, 2007.
정진상. 『교육부의 대국민 사기극』. 서울 : 책갈피, 2006.
손희권. 『교육과 헌법』. 서울 : 학지사, 2007.

Nicole Woolsey Biggart and Gary G. Hamilton.『The Economic Organization of East Asian Capitalism』. Sage Publication, 1997.
www.moe.go.kr/main.jsp?idx=0306010101
www.hannara.or.kr/hannara2/news/news_top_view.jsp?no=408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