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

 1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
 2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2
 3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3
 4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4
 5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5
 6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6
 7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7
 8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8
 9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9
 10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0
 11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1
 12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2
 13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3
 14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4
 15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5
 16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6
 17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7
 18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8
 19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19
 20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물소재공학] 새로운 미백 소재 ‘강황’ 제품개발 기획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1. 주제 선정
ⅰ 미백이란?
ⅱ 멜라닌 생합성 과정
Ⅰ-2. 소재 선정
ⅰ 강황이란?
ⅱ 강황의 미백 효능
Ⅱ 본론
Ⅱ-1. 추출
ⅰ 추출방법
ⅱ UV Spectrum curcumin 분석
ⅲ HPLC로 curcumin 분석
Ⅱ-2. 냄새 제거
ⅰ 허브
ⅱ 숯
Ⅱ-3. 공정
ⅰ 분산 공정
ⅱ 유화 공정
ⅲ 가용화 공정
ⅳ 혼합 공정
ⅴ 분쇄 공정
ⅵ 충전포장 및 성형 공정
Ⅱ-4. 효능, 안정성, 안전성 평가
ⅰ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ⅱ 강황 색소(curcuminoid)의 안정성
ⅲ 미백 기능의 안정성
Ⅱ-5. 항산화 능력 측정
ⅰ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
ⅱ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측정
ⅲ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ⅳ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Ⅰ-1. 주제 선정

ⅰ 미백이란?

깨끗하고 새하얀 피부는 모든 여성들의 영원한 소망이다. 이러한 소망을 반영하듯 최근 들어 미백화장품 관련 출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능을 요구하는 화장품을 찾는 시대에 그 중 가장 시장성이 큰 미백 기능성 화장
품에 대한 연구를 기존의 화장품과 비교하여 연구하고자 하며 그 주요 성분으로
천연물질에 대한 수요자의 기대효과가 크므로 식물성 미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화
장품의 개발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제품화연구에 활용하여 향후 미백 화장품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천연물질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가 증대하고 있어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원료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백효과를 갖는 기능성화장품 원료는 크게 천연물질(예 ascorbic acid, kojic acid,flavonoid 등)과 합성물질 (예 : ascorbyl palmitate, magnesium phosphate ascorbic acid, kojic acid 등)로 구분되나,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품은 수요자의 식물성 화장품에 욕구에 부응하며 고부가 가치 사업에서 경쟁력이 강화되므로 천연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기능성화장품의
개발 동향 분석이 중요하다.
95년 이후 미백화장품 관련 특허는 연 평균 16%의 출원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특허 미백화장품의 국내 특허출원 동향) 미백활성 성분으로는 천연물질 추출물이 44%, 신규화합물이 25%, 기존 미백성분(비타민 C,알부틴 등) 및 그 밖의 물질이 31%로 천연물질을 통한 새로운 미백물질의 출소는 국내 및 세계 미백시장의 큰 흐름이므로 식물성 미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동향을 분석을 통해 제품화할 수 있는 발판을 미약하나마 고안하고자함이 목적이다.
현재 식물성 미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화장품의 개발에 박차가 가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미백소재는 미백효과만 언급한 채 실제로는 엑스 형태로 제조 되어 미백 효능보다는 황 에 의존하는 효과를 연출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식물성 소재에 있어서 미백의 무궁무진한 발견을 찾기 위해 우리 조의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를 미백으로 정하였다.


ⅱ 미백 메커니즘

피부 색깔은 멜라닌이라는 색소의 종류나 양에 의하여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