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1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1
 2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2
 3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3
 4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4
 5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5
 6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6
 7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7
 8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8
 9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9
 10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10
 11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11
 12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철학의 쟁점연구] 실제로 교육사태에서 실용적 교과와 자유교양교과를 학교교육에서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육철학이 필요한 이유
Ⅱ 교육의 목적
Ⅲ 쟁점 및 쟁점 선정 이유
Ⅳ 주제내용
1. 실용적 교육
(1) 사례
(2) 개념설명
(3) 학자들의 이론
(4) 문제점
2. 자유교양교육
(1) 사례
(2) 개념설명
(3) 학자들의 이론
(4) 교양을 바라보는 다양한 견해
Ⅴ 질의 및 토론
Ⅵ 결론
본문내용
(2) 개념설명
자유교양교육이라는 말은 자유교육(liberal education)이라는 말에서 유래한다. 자유교양과 자유가 어떤 관계에 놓여 있기에 가능한 말일까?
교육의 외재적 목적이 실용적 교육과 통했듯, 교육의 내재적 목적은 자유교양교육과 통한다. 교육의 내재적 목적은 교육 목적을 외부가 아닌 내부, 즉 교육 그 자체에서 찾는 것이다. 이 맥락에서 자유교양과 자유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이해하기가 쉬워진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교육은 자유민들을 위한 것이었다. 노예는 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반면 자유민에 해당하는 평민과 귀족은 상대적으로 생산 활동에 있어서 자유로운 상태였다. 따라서 그들은 순수하게 지적 활동에 몰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순수하게 학문을 할 수 있었기에 자유교육이 자유교양교육이라는 말을 이끌어 내게 된 것이다.
이렇게 출발한 자유교양교육의 목적은 이성적인 마음의 계발에 있으며, 그 내용은 이론적인 활동과 이론적인 교과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철학을 중심으로, 중세에는 3학(문법, 수사학, 논리학) 4과(산술, 기하, 천문, 음악)의 7자유교과를 교양교육에서 다루었다.
자유교양교육은 전문적인 연구능력을 가르치는 전공교육과는 달리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교양을 함양하는 교육을 말한다. 이것을 좀 더 쉽게 생각하면 오늘날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주요 교과가 곧 자유교양교육의 내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학문 자체에 의미를 두는 자유교양교육은 한마디로 ‘진리를 받아들이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겠다.
(3) 학자들의 이론
실용적 교육의 경우에서처럼 자유교양교육에 의미를 둔 학자들은 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중요하게 생각한 사람들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해당하는 학자들 중 몇 명을 가려내자면 듀이(J. Dewey), 피터즈(R.S. Peters), 허친스(R.M. Hutchins)를 들 수 있다.
우선 듀이는 “교육의 과정은 그 자체를 초월한 어떤 목적도 가지지 않으며 교육은 그 자체가 목적이다.”고 주장했고, 피터즈는 “교육은 어떤 것의 수단이 아닌 그 자체의 기준 혹은 준거를 목적으로 삼는다.”, 허친스는 교양교육에 대해서 전문적인 훈련, 직업훈련과 무관하며 모든 사람의 의무라고 생각했다. 특히 그는 미국의 기계적 기술문명과 지나치게 전문화한 직업교육을 비판하고, 고전을 존중하는 새로운 교육이론과 방법을 제창․실천하였다.
(4) 교양을 바라보는 다양한 견해
교양교육에 대한 학자들의 논의를 찾던 중 ‘교양, 모든 것의 시작’이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교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지만 그들이 제시하고 있는 문제들과 답변들은 우리가 쟁점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방향을 잡고, 생각을 구체화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교양, 모든 것의 시작’에 나온 세 명의 학자들의 견해를 소개하려고 한다.
이 책은 세 명의 공동 저자에 의해 탄생되었다. 재일조선인 2세이며 도쿄경제대학교 교수인 서경식, 시카고대학교 인문학부 동아시아 언어학과 교수 노마 필드, 아흔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왕성한 집필 활동을 하고 있는 일본의 대표적인 지성 카토 슈이치가 그 주인공이다.
저자들이 바라본 교양은 첫째, 타인에 대한 이해와 '인간'으로서의 성장이 시작되는 지점이
참고문헌
교육과정과 목적, D.F. Walker and J.F. Soltis지음, 허숙, 박승배 번역, 교육과학사
교양, 모든 것의 시작, 서경식, 노마드북스
교육의 목적과 난점, 이홍우, 교육과학사
신교육의 이해, 윤정일 외 5인, 학지사
현대 교육 철학, 신득렬, 학지사
대학가는 지금 ‘몸짱’ 강의 열풍, MBC 뉴스 2007-03-26 (주제와 쟁점 선정 이유의 사례1)
김영하의 장편소설 ‘퀴즈쇼’ , Daum 블로거 뉴스 (주제와 쟁점 선정 이유의 사례2)
부산의 특성화 고등학교, 부산일보 2006-09-22 (실용적 교육의 사례)
교육과정 개정안 확정…2009년부터 적용, YTN 뉴스 2007-02-23 (자유교양교육의 사례)